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마케팅의 개념과 역사, 경영용어

by 극승 2023. 11. 15.

[마케팅의 역사]

마케팅은 4p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격, 제품, 유통, 촉진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4P가 최근에 들어와서는 바뀌고 있는 측면이 있다.

 

P: 가격, 제품, 촉진 유통이다.

S: 세분화이다. 

T: 목표시장이다

P : 시장선정이다. 

 

마케팅행위의 대상에 따른 분류 같은 경우에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재 마케팅'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재 마케팅' 무형의 서비스를 마케팅하는 것을 '서비스 마케팅' 등이 있다.

 

마케팅 행위 참여자에 따른 분류는 '영리마케팅' 과 '비영리 마케팅'이다.

 

영리마케팅은 영리를 추구하는 집단이나 기업을 의미하고  비영리마케팅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집단이나 단체를 의미한다. 

 

[마케팅의 역사 발전단계]

생산개념 --> 제품개념 --> 판매개념 --> 마케팅개념 --> 사회적 마케팅개념

 

생산개념은 산업혁명이 발생되면서 시작이 되었음. 19세기 말까지 거의 모든 제품들이 수공업을 통해 생산되는 시기에 지배적인 기업경영의 이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요자의 의견을 경청한다기보다는 막연하게 생산만 해 놓으면 소비자들이 구매를 하는 그런시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획득이 우선이 되어 기업은 생산량 증대에 최대한 노력해야 했음. 최고 경영자가 기업목표 계획을 수립했고 생산량 향상에 노력을 기울인 개념이고 광범위한 유통망을 중요하게 여겼음.

 

제품개념은 소비자들이 우수한 품질이나 효용을 가진 제품을 선호한다는 개념임.

연구부서나 엔지니어가 신제품을 설계함, 이에 따라서 경쟁업체 수가 점차 늘어나고 시장에 유사상품들이 많아집니다.

 

제품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품개념에 충실한 것이 핵심성공요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판매개념은 기업이 소비자로 하여금 경쟁사제품보다 자사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도록 설득해야 한다고 주장함. 이를 위해 효과적인 판매활동과 촉진수단을 활용해야 한다고 보는 개념이고 이를 위해 효과적인 판매활동과 촉진수단을 활용해야 됨. 

 

판매자위주의 개념으로 판매가 주요 문제로 대두됨

판매 및 촉진활동을 통해 소비자에게 접근하였다.

판매담당자의 업무에 광고 및 시장조사가 포함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판매부서는 판매원 훈련과 판매기법을 도입한 시기임

 

[마케팅 역사와 개념, 사회적 마케팅 개념에 대해]

 

마케팅개념은 고객중심적인 마케팅 관리 이념을 전제로 하며 구매자의 욕구에 초점을 둔 구매자 위주의 시장입니다.

 

마케팅 개념은 그러면 어떠한 발전단계가 있을까요?

가. 시장주도 전략 - 소비자의 욕구를 조사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에 해당 욕구가 반영되도록 설계함 (소비자의 욕구파악)

나. 시장창출 전략 -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됨, 소비자에게는 아직까지 특정제품이나 선호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입니다.

 

사회적 마케팅은 고객의 단기적 욕구충족과 장기적복지와 관계를 어필하고 개개인의 소비자욕구와 사회복지관계를 연결시킨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배려 및 수익을 요구한다. 

 

소비자 만족과 사회복지 - 상품의 정보제공, 안전성, 재활용 등 소비자만족과 사회복지를 고려함

통합적 마케팅 화롱 - 기업의 모든 영역의 활동이 소비자와 사회복지에 초점을 두고 통합되고 마케팅 부서가 조정함 

이익지향성 

 

1. 조직경영

- 계획수립 -> 조직화 -> 지휘 -> 통제 

 

2. 경영자

- 다른 사람을 통해서 업무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사람

-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의 업무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사람

- 경영활동을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사람

 

[경영 마케팅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

전문경영자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고 보시면 된다.

- 소유와 경영의 분리

- 경영에 관한 전문지식을 소유함

- 경영관리를 전문적 직업으로 함

- 주주로부터 경영 권한을 위임 받았다.

- 수권경영자이다.

- 이해관계자들의 이해를 조정한다

- 최고경영자, 중간경영자, 하위경영자가 있다. 

 

경영관점에서 제품의 유형을 잘 구분해야 한다. 

 

- 핵심제품 : 가장 근본적인 차원, 고객이 제품구입에서 얻으려고 하는 근본적인 서비스나 효용을 나타낸다.

- 유형제품 : 고객이 제품으로부터 추구하느 핵심적인 편익을 구체적인 물리적 속성들의 집합으로 유형화시킨 것

- 확장제품 : 유형제품에 덧붙여 제공할 수 있는 개발, 보증, 에프터서비스, 설치 등과 같은 효익을 부가한 것 

 

핵심제품 같은 경우에는 어떠한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했을 때 기본적으로 탑재된 이미지가 있는 제품입니다. 가위를 오렸을 경우에는 '잘 짜를 수 있을 것' 이라는 기본적인 핵심속성을 탑재해야한다.

 

확장제품은 AS나 추가적인 서비스에 대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신제품 같은 경우에는 산업임장의 신제품이 있다. 산업임장의 신제품 같은 경우에는 완전히 새로운 제품을 의미한다. 제품 자체가 새로운 시장이라는 것이다. 개량적 신제품은 기존 제품을 개량해서 내 놓은 제품이다. 제품개발에 따른 새로운 시장창출에 따르는 위험부담이 적다. 자사입장의 신제품은 자사가 후발업체로서 출시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음료수와 과자가 있다.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