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취업시장2

구인배수 0.28, 하지만 체감은 더 낮다? 실질 구인배수 분석 [구인배수 0.28의 진실]구인배수는 노동시장의 수급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신규 구인 인원 대비 신규 구직 건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일자리를 구하기 쉬운 환경을, 낮을수록 어려운 환경을 의미합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 워크넷을 통한 신규 구인은 13만 5천명, 신규 구직은 47만 9천명으로 구인배수는 0.28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구직자 3명당 일자리 1개도 채 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하며,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1월 0.23이후 26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공식적인 구인배수는 모든 일자리를 포함한 수치로 3D업종이나 단기, 불안정 일자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안정적인 '유효 일자리' 만 고려.. 2025. 5. 4.
한국의 구인 배수 0.28 얼마나 심각한가? [구인배수 0.28이 의미하는 것]구인배수가 0.28이라는 것은 단순히 말해 일자리를 찾는 100명 중 단 28명만이 구직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나머지 72명은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남아 있는 구조적인 실업 상태에 놓여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노동시장이 극도로 위축되어 있으며, 구직자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환경임을 반영합니다. 과거와 비교했을 때 구인배수는 0.5~0.7 수준을 유지해 왔으며 경제가 활황일 때는 1을 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0.28이라는 수치는 사상 최저 수준으로 경제 불황과 맞물려 노동시장 구조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를 넘어 장기적인 고용 불안정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면 주요 원인은 어떤 것이 있을까.. 2025.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