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기법 종류]
1. 강의법
가장 오래된 교육방법 중의 하나로 강화법이라고도 함. 어떤 주제에 대해 전문가가 설명하고 그것을 참가자가 경청하는 형태이다. 연수기법 중 대표적인 기법으로 그 연원이 고대 그리스 시대에게까지 이르는 고전적 기법임. 강의법 고유의 장점과 기능은 여전히 유효하나 강의법의 위치는 크게 낮아졌다.
강의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을 교육할 수 있어 시간이나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2) 기본적인 지식과 공통개념을 이해시키는 데 유효하다
3) 말로 설명하는 것이 인쇄된 글자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4) 강의는 도중에 설명을 되풀이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5) 학생에게 듣는 경험을 제공한다.
6) 시간을 절약할 수 잉씀
7) 능력 있는 학생에게 효과적이다.
8) 소극적 학습자에게 참여 부담이 적다.
9) 교수자의 강의 내용, 수업 시간, 학습 환경을 상황에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
강의법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자의 특성, 경험, 수준, 기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2) 학습자의 참여가 제한적이다.
3) 학습자의 주의 집중이 지속되기 어렵다.
4) 학습자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제한적이다.
5) 수강자가 동기 부여되지 않았거나 참가자간 능력의 차이가 많은 경우 효과성이 낮아진다.
2. 프레젠테이션
한정된 시간 내에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 및 설득하여 자신이 의도한 대로 판단과 의사결정이 되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이다. 논리에 감성을 입히고 태도를 무기로 청중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프레젠테이션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컨텐츠 : 무엇을 말하는가, 어떤 목적과 목표를 가지고 기획할 것인가
2) 스킬 : 어떻게 말하는가, 시각적 표현이나 표현기법은 어떻게 되는가
3) 차별성 : 누가 말하는가, 모습 이미지 등 신뢰감 요인은 무엇인가
프레젠테이션 3P 분석
1. 목적 (PURPOSE)
- 프레젠테이션을 왜 하는가?
- 청중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
- 청중으로부터 무엇을 알고 싶은가?
2. 대상(PEOPLE)
- 청중의 문화적 배경
- 청중의 유형 (호의적, 중립적, 적대적)
- 청중의 특성 (인원, 연령, 직급)
3. 장소 (PLACE)
- 소재지 분석
- 환경 분석
- 설비 분석
프레젠테이션 단계별 중점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발표자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드러낼 것
2. 전개 개요를 간단히 요약해 줄 것
3. 청중의 관심과 흥미를 집중시킬 것
프레젠테이션은 시각적 효과로 언어와 그림으로 청중의 기억 잔존율을 높여야 된다. 슬라이드 기본예절은 다음과 같다.
1. 직독성 :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2. 간결성 : 복잡하지 않고 압축되어 있어야 한다
3. 강조성 : 강조하는 포인트가 제시되어야 함
추가적으로 화려함보다는 단순함이 장황함보다는 간결함이 우선이다.
3. 질문법
강의법과 함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교수법의 하나이다. 소크라테스 시대부터는 질문법이 수업의 기법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질문을 잘했을 때 질문이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과 학습의 효과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믿고 있음.
질문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자의 호기심을 일으켜 관심 집중
2. 학습할 내용의 중요 포인트를 강조하고 성찰을 촉진한다
3. 참여적, 능동적 학습을 증진하는 데 사용함.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관광공사 관광 e배움터 서포터즈 수료 후기 (13) | 2024.10.08 |
---|---|
수기공모전, 치사랑도덕실천운동본부 (3) | 2024.10.07 |
모델 섭외 사기 부업 (3) | 2024.10.05 |
결혼식 스드메와 허례 의식 문화 feat 출산율 (5) | 2024.10.04 |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1) | 2024.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