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다시 한 번 생각하는 한국의 사회문제

by 극승 2021. 8. 15.
반응형

 

[한국 사회문제]

 

안녕하세요. 이번에 얘기해 볼 것은 한국 사회 문제 입니다. 이 얘기를 하게 된 이유가 제가 아는 지인이 경기 서울권의 인구 과밀화 문제를 지적해서 이런 얘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인구과밀화로 인한 주택문제, 쓰레기문제, 환경오염문제, 주택문제, 범죄문제, 삶의 질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파생시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 번 다른 사회문제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 저출산 초고령화 사회 문제
  • 불평등 문제
  • 미래세대 삶의 불안잔성
  • 고용불안

1. 저출산 초고령화 사회문제는 한국을 대표하는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출산율: 0.83, 초고령화 사회는 멀지 2026년에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다고 들었다.

2. 지니 계수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수치가 높아짐.

점점 더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 미래세대 삶의 불안전성

미래세대 삶의 불안전성, 주거나 일자리가 안정적이지 못하다 보니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시기도, 결혼하는 시기도 늦어진다. 점차 한국 자체의 뼈대가 늙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 고용 불안

말해 무엇하나? 지금 20~30대 계약직, 아르바이트를 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신다. 물론 자신의 선택과 의지에 의해서 그렇게 살아가시는 분들도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N포 세대에서 더 많은 것을 놓아두면 계약직, 프리랜서, 아르바이트를 해서라도 어떻게든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고용 불안이 궁극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약화라는 길로 가고 있다는 사실 또한 알고 있어야 된다.

 

이렇게 말하는 내 입장도 솔직히 결혼이나 출산은 할 생각이 없고, 계약직이나 아르바이트, 정규직 일자리를 떠돌면서 내가 원하는 내 나름의 인생방향을 찾고 싶다. 예전에는 인생의 방향을 한 회사에서  뼈를 묻어서 찾았다고 하면 지금은 그게 아닌 것 같다고 생각한다.

 

 

 

5. 국가간 환경영향 증대

국내 연간 황사 발생일수 증가한다. 특히 이 뿐만이 아니라 중국에서 날아오는 미세먼지도 심각한 수준이다.

반응형

6. 사이버 범죄

한국은 초연결사회다. 땅이 좁아서 그만큼 휴대폰, 인터넷 보급률도 높고 와이파이가 안 터지는 장소가 없다. 블랙해커들을 저지하기 위해서 화이트 해커 인력을 양성한다. 사이버 범죄는 날이 갈수록 진화한다.  스미싱, 파밍, 피싱 등등 지금도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당신의 금융정보를 노리기 위해서 호시탐탐 기회를 엿 보는 블랙해커들이 한국에는 많다.

7. 에너지 및 자원 고갈

우리나라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수출주도형국가이다. 해외자본을 국내에 대거 끌어와야 국내에 내수경제가 활성화 된다. 수출기업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8. 북한과 안보 통일 문제

한국의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는 요인 중의 하나. '북한과의 전쟁 가능성' 대남도발이나 핵실험 등 대외적인 악재요인 중의 하나인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한국의 주식시장은 자유로울 수 없다. 북한과 안보 통일, 통일 비용, 문화적 괴리감 및 이질감, 불신 등은 현재 시간이 갈수록 더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북한의 화전양면식 전술도 한 몫 했다.

9.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는 전 세계적인 이슈이다. 북극의 빙하가 더 빨리 녹고, 이상기후로 눈이 내리지 않는 지역에 눈이 내리고 갑작스러운 폭염과 엘니뇨, 라니냐 현상이 일어나는 지역이 바뀌기도 한다.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요인 중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요인 중 하나가 바로 '인간의 무질서한 자연 파괴' 라고 생각한다. 지금 글을 쓰고 있는 현재도 많은 나무들이 베어져 나간다. 지구의 허파가 말이다.

 

과연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현할지가 현 세대 환경측면에서 과제라고 생각한다.

10. 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

현재 코로나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저성장 길을 걷고 있다. 한국도 대표적인 저 성장 국가이다. 개발도상국이 성장을 하면 급진적으로 증가 되지만 선진국 반열에 오르게 되면 그 이후의 성장률은 둔화되는 통과의례적 특징을 가진다. 이런 저 성장을 극복하는 것 조차 현재는 쉬운 게 아니다. 코로나 때문에 대면으로서 제약이 많이 생겼기 때문이다.

 

현재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  코로나 확진자가 1800명~2000명을 왔다갔다 한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