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 관련 활동에서 발생한 핵폐수를 제대로 정제하지 않은 채 방류하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나 정작 한국의 주요 언론매체에서는 이 사안에 대해 거의 보도하지 않거나, 짧게 언급하고 넘어가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 하나를 던져봅니다.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했을 때 우리는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많은 국민들과 정치권, 언론은 연일 일본을 향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방사능 테러, 해양 생태계 파괴라는 표현까지 동원되었고 심지어 후쿠시마산 수산물 불매운동도 벌어졌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 북한이 아무 정화도 없이 핵폐수를 방류한 사건에 대해서는 왜 이토록 조용한걸까요?
우리는 북한의 방사성 폐수가 강을 타고, 해류를 타고 결국 우리의 땅과 바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으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핵폐수는 단순히 북한의 문제가 아닙니다.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안전, 그리고 동북아 전체 해양 생태계에 직결된 문제입니다. 지금 이 문제를 외면하거나 침묵한다면 그 피해는 언젠가 우리에게 되돌아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재명 대통령은 적절하게 북한 쪽에 강력한 성명을 발표하고 이러한 핵폐수 무단 방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야 할 것 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친중, 친북, 종북세력으로 의심을 받고 있어도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과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해야 할 말은 하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북한 핵폐수 측정 수치]
최고 시간당 0.92 µSv/h
- 자연 배경선량(0.05~0.3 µSv/h) 대비 최대 약 3배 높음
https://www.free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60&utm_source=chatgpt.com
[단독] 강화도 해변에서 기준치 ‘3배 초과’ 방사선 검출…북한 방사능 폐수 방류때문?
최근 북한이 평안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시설에서 방사능 폐수를 유출했다는 정황이 위성 분석으로 포착된 가운데, 인천 강화군 석모도 ‘민머루 해수욕장’에서 일반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방
www.freezine.co.kr
- Qsafe QSF104m 장비 사용, 경고 알람 울릴 정도의 수치 기록
https://www.free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60&utm_source=chatgpt.com
[단독] 강화도 해변에서 기준치 ‘3배 초과’ 방사선 검출…북한 방사능 폐수 방류때문?
최근 북한이 평안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시설에서 방사능 폐수를 유출했다는 정황이 위성 분석으로 포착된 가운데, 인천 강화군 석모도 ‘민머루 해수욕장’에서 일반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방
www.freezine.co.kr
- 최소 0.60 µSv/h 이상 기록된 지점도 발견
https://www.free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60&utm_source=chatgpt.com
[단독] 강화도 해변에서 기준치 ‘3배 초과’ 방사선 검출…북한 방사능 폐수 방류때문?
최근 북한이 평안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시설에서 방사능 폐수를 유출했다는 정황이 위성 분석으로 포착된 가운데, 인천 강화군 석모도 ‘민머루 해수욕장’에서 일반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방
www.freezine.co.kr
전문가 입장은 다음과 같다.
- 0.9 µSv/h 정도 수치는 단기 체류 시 즉각적 위험은 없으나,
- 연간 기준치(1 mSv/year)를 초과할 수 있어, 장기·반복 노출 시 문제 → 먹이사슬·수산물·생태계·인체 건강 등에 누적 위험 가능성 지적
정부 및 공공기관 입장은 다음과 같다.
원안위 및 통일부는 “현재 국내 모든 방사선 측정망에서 **이상 징후 없으며, 수치 정상 범위”라고 발표
- 전국 244개 지역, 15분 주기 측정 결과 “0.059–0.212 µSv/h” 정상 범위
- 강화도 현장 재점검 결과 역시 0.2 µSv/h 이내 정상
- 통일부는 “서해 농도는 유의미한 변동 없다”고 연일 설명
항목 | 의혹 측 | 정부 공식 기관 |
측정 바탕 | 시민 유튜버 현장 측정 (최대 0.92 µSv/h) | 공인 측정망에서 정상 범위 (0.059–0.212 µSv/h) |
단기 노출 위험 | 낮음 | 무시 가능 |
장기 누적 위험 | 가능 (수산물, 생태계, 연간 기준 초과 등) | 아직 근거 없음 |
대응 방향 | 북한 무단 방류에 관해서 조사 조치 필요 | 현재 수치가 정상적이고 지속 모니터링 필요성 있음. |
유튜버와 시민들은 강화도에서 경고 수준의 수치를 측정했으나 정부는 공인 자동 모니터링망에서 '정상' 결과만 나왔다며 의혹을 일축하고 있습니다.
단기 체류에는 큰 위험이 없더라도 장기 반복 노출 시 누적 피폭 우려는 현실적이며 방사성 물질이 해양생태계 수산물에 축적될 가능성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현장 측정의 신뢰도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북한 핵폐수 유입 여부, 방사능 수치의 일관성, 장기 영향 등을 포함한 통합 조사 및 국제 공조 감시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주교 A to Z: 미사, 예절, 교리, 그리고 삶에 주는 힘 (0) | 2025.07.05 |
---|---|
중국의 언론 통제와 검열: 왜 민감한 주제를 말하지 못할까? (0) | 2025.07.04 |
알뜰폰 vs 일반폰, 뭐가 다를까? 통신비 절약의 모든 것! (0) | 2025.07.02 |
이재명 대통령 당선 후 한국의 4년: 정책과 변화 전망 (1) | 2025.07.01 |
듀얼 브레인 독서 후기 (2) | 2025.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