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사기광고, 다이어트광고

by 극승 2024. 8. 5.
반응형

[다이어트, 사람들의 욕구를 담다.]

다이어트라고 하는 단어는 어떻게 보면 20~30대 여성분들을 표적으로 한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20~30대 여성분들을 위해서 각종 다이어트 광고 및 다이어트 보조제에 대한 광고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은 유튜브를 보고 있던 중 광고의 '먹어도 살이 빠진다' 라는 다이어트 광고를 본 적이 있다. 근데 정말 사실일까? 이러한 광고를 무차별적으로 받아주는 유튜브 환경아 참 안타깝게 느껴지는 것 같다.

 

과연 먹어서 살만 빠지는 약이나 보조제가 있으면 유튜브 광고가 아니라 특허를 내야 되는 것이 맞지 않을까?

 

그런데 이러한 내용을 버젓이 광고를 한다는 게 웃기지 않은가? 여러분들은 생각은 어떠한가?

 

다이어트뿐만이 아닙니다. 다이어트 외에도 어떠한 사람들의 욕구를 반영한 제품이나 서비스는 그 제품과 서비스에 관심이 있고 필요로 하는 많은 이들의 소비욕구를 자극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으로 성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50~60대 남성들을 위한 성기능성 제품 광고라든가,  먹으면 살이 무조건 빠진다라고 강조하는 다이어트 광고, 수험생들을 위해서 먹으면 머리가 좋아지고 시험을 잘 볼 것이라고 말하는 수험생들을 위한 약, 약이나 주사를 맞으면 무조건 키가 커질 것이라고 하는 광고 등등 말이죠. 

 

[다이어트 광고, 살이 빠지는 묘약이 아니라 보조제일 가능성이 크다.]

다이어트 광고라고 해봤자 사실은 다이어트 보조제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구매욕구를 자극하기 위해서 정말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

 

"주문을 하지 말아주세요. 곧 품절입니다. 너무 인기가 많아서 힘이 듭니다."

"주변에 많이 알리지 말아주세요."

"이 제품은 정말로 비만이신 분들에게 권장을 드리는 제품입니다."

 

이렇게 소비자들의 열화와 같은 사랑과 관심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들은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더 자극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사기, 거짓, 과장광고에 노출되어 더 많은 구매를 일으킬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결점이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줄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상품은 정말 큰 고민없이 구매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말이다.

 

어떻게 보면 제품 판매 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고객들의 니즈와 욕구를 잘 파악해서 광고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는 하지만 사실 거짓광고나 과장광고, 사기광고는 이러한 광고 법칙이 통용되면 나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사실 이렇게 구매한 제품과 서비스로 인해서 어떠한 부작용이 발생할지 모르고 사실 상 효과가 없는 제품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들이 겪고 있는 문제상황으로 인한 좌절감이나 슬픔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사기광고, 거짓광고 허위광고, 과장광고를 보면서 느낀점]

1.  유트브 광고 제제에 대한 방법

- 유튜브에 각종 광고를 보면 정말 말이 안되는 광고도 광고비만 주면 검열 없이 다 광고를 보여주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누가 봐도 사기같고 누가 봐도 말이 안되는 광고인데 단순히 광고비만 지불하면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무차별적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노출시켜준다는 것이 광고 윤리 상 적절한지 한 번 생각해봐야 될 것 같다고 생각한다.

 

2. 다이어트 광고, 다이어트 보조제일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말이다.

- 다이어트 광고는 사실상 다이어트 보조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가장 좋은 다이어트는 본인의 식습관과 운동을 통한 관리라고 생각한다. 어떠한 제품에 의존하는 것보다는 개인의 노력으로 변화시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개인의 노력과 더불어서 다이어트 보조제를 활용하면 이 또한 정말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본인의 노력 없이 단순히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만 높이는 것은 정답이 아니라는 것이고 이러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로 결국 요요현상이라는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살을 빼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본인 스스로 느낀다면 살이 찌지 않도록 적절한 운동이나 식단관리를 통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3.  연예인을 활용한 사칭광고

- 연예인을 활용한 사칭광고, 사기광고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요즘에 사기광고 업체들이 간이 배밖으로 나와서 소풍을 간 수준의 광고도 있어서 정멀 유명한 연예인을 본인의 제품과 서비스 모델로 활용해서 홍보하는 양심이 없는 경우도 있으니까 말이죠. 근데 이러한 사기광고 업체가 버젓이 활동하는 것도 저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제제를 가해야 되는 게 맞는 것이 아닌가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