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성숙한 사람들의 대화 방법

by 극승 2025. 2. 20.
반응형

[성숙한 사람들의 대화 방법]

1. 타인의 말을 중간에 끊지 않으려고 한다.

타인의 말을 중간에 끊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상대방의 이야기를 다 듣고 이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려고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나와 의견이 다르거나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을 하거나 내가 가진 정보나 지식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고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그냥 그대로 이야기하려는 성향이 있다. 

 

특히 개인의 무지에서 오는 발언이나 이야기를 다 듣지 않고 전체적으로 무슨 이야기일지 예상을 하는 확증 편향 때문에 의사소통에서 오류나 갈등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2. 내가 모르는 것을 인정한다.

지식이 있는 사람들, 무엇보다 다양한 학문에 관심이 있고 학습을 해 본 사람들은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에 대한 메타인지능력을 가지고 있다.

 

오히려 정말 지식이 없고 아는 게 없는 사람들이 더 자신이 알고 있다고 착각을 하는 등의 더닝크루거 효과가 발생한다.

 

조금 학습을 하고 나서 자신이 마치 해당 분야에 대해서 전문가가 된 것처럼 생각을 하고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을 해야 되는 측면이 있다. 

 

내가 모르는 것을 인정하고 어떠한 부분에 대해서 모르는지에 대해서 상대에게 이야기를 하면 의사소통 과정에서 오류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대 또한 이야기를 할 때 '이정도는 알아야되는거 아니냐고?' 생각을 하면서 이야기를 할 수 있지만 사실 그 부분은 타인이 생각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마다 처해 있는 상황이나 배경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지식의 접근수준이나 이해수준도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만약에 본인이 해당 분야와 관련한 토론주제나 대화주제가 오고 간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오류를 정정해줄 수 있겠지만 만약에 본인이 잘 모르는 분야나 애매하게 알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사실 조심스럽게 대화를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형

3. 경청을 하려고 노력한다.

경청을 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상대방은 신뢰를 가지고 자신의 이야기를 잘 털어 놓는다. 그것이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는 과정이나 고개를 끄덕이거나 하는 반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이 될 수 있겠지만 그런 것들 자체가 상대가 나에게 관심을 갖고 모든 이야기를 털어 놓을 수 있게 하는 비결이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회사에서는 사수나 선임이 이야기를 하는 것을 메모를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에서도 좋은 모습과 좋은 이미지와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4. 무례함이 없다.

말 그대로 무례함이 없다. 무례함은 사람마다 다르게 정의할 수 있겠지만 어떤 사람들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함부로 조언이나 충고를 하는 사람을 무례하다고 정의할 수 있고 어떤 사람들은 듣는 이의 태도나 자세를 무례함으로 정의할 수 있다.

 

뭐 다양한 요소가 있고 종합적으로 따져보겠지만 사람들마다 무례함이라는 단어에서 어떤 요소에 가중치를 두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성숙한 사람들의 대화는 무례함이 없도록 질문을 하고 정중하게 경청을 한다는 것의 있다.

 

소크라테스 산파법처럼 어떠한 질문을 통해서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거나 스스로 질문에 대답을 하는 과정에서 문제의 오류나 모순을 깨우치도록 하는 것이 소크라테스 산파법이다.

 

이런 것처럼 질문이나 건의를 할 때도 무례하지 않게 질문을 하는 것이 사실 쉬워보이면서도 어려운 영역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5. 상황을 고려한다

상대방이 처해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방어기제, 트라우마, 환경적 상황, 유전적 요인 등을 고려하려고 노력을 한다. 

 

모든 사람들이 시련이나 문제 상황이 있을 때 똑같이 상황을 바라보지 않고 이 상황에 대해서 각기 다른 해석을 하는 것은 사람들마다 경험의 수준이나 경험의 질적인 수준, 경험의 양적인 측면, 가치관과 세계관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의 선천적인 성향도 관련 있을 수 있다. 소심하거나 외향적인 부분도 후천적으로는 어느 정도 개선을 할 수 있겠지만 어느 정도 타고난 기질이나 성향을 완전히 고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각 개인의 상황을 최대한 고려하여 의견을 주고 받고 상호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 그 자체가 성숙한 성인들의 대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