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코인 투자를 하면서 알아두어야 하는 점

by 극승 2025. 2. 21.
반응형

[코인투자]

1. MDRV 지표 고려하기

- MDRV 지표가 3.75 이상이면 매도를 고려해야 한다. 주식에서 PER 지표는 거품이 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인데  기업의 시장가치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면 흔히 거품이 껴 있다고 이야기를 한다. 

 

물론 향후의 그렇게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 같은 경우에는 주가가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높지만 기업분석, 사업분석, 환경분석을 시행함에도 그러한 가치가 없을 경우 단계적으로 매도를 해야 한다.

 

이처럼 코인도 MDRV 지표가 3.75 이상이 되면 매도를 고려해야 한다. 

2. PUELL 멀티플 지표 확인학

- 푸엘 지표 같은 경우에도 잘 확인을 해 두면 좋겠다. MDRV와 세트메뉴로 같이 확인을 하면 좋은데 푸엘지표 같은 경우에는 3.5 이상을 넘으면 매도를 고려해봐야 되는 지표이다.

3. 펀딩피 0.1%~0.2% 형성

- 펀딩피가 0.1%~0.2%가 형성이 되었을 경우에 매도를 고려해볼만한 구간이다.

반응형

4. 김치 프리미엄 10~15% 형성

- 지금 이 글을 쓰는 시점이 2025년 1월 20일이다. 지표를 보니까 김치 프리미엄이 4%정도 형성이 된 것을 확인했는데 김치 프리미엄 같은 경우에는 한국인들이 다른 해외 거래소보다 더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치 파워, 한국인들의 파워라고 해서 한국인들이 코인에 관심을 가지고 너도 나도 코인을 투자한다고 하고 버스나 대중교통에서 할머니들이 코인을 투자하려는 심리와 상황이 자주 보인다면 매도를 고려해볼만하다.

 

물론 이럴 경우에 김치프리미엄이 보통 10~15% 형성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까 말이다.

5. 기관의 자금 순유출 2억달러

코인의 가격을 견인하는 것이 개미들일 수 있지만 보통은 기관이나 거대한 기업에서 대규모로 코인을 매집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6. 거래량 감소

전체적으로 코인 시장에서 거래량이 급락한다는 것은 그만큼 해당 자산에 대한 인기가 식었다는 증거가 된다. 거래량이 급락한다면 코인을 매도하는 시점도 고려를 해봐야 된다.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이 그렇다. 대출이 잘 나오지 않고 부동산 가격이 높아져 있어 거래를 하는 게 부담스럽다. 이로 인해서 과거에 비해서 거래량이 대폭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지방뿐만이 아나리 서울 중심지도 그러하다.

 

지방은 이미 상가도 그렇지만 임대를 주는 곳도 많이 있어 더 심각하게 가격이 빠질텐데 이러한 영향도 서울이나 도심지역도 피할 수는 없는 것 같더라. 물론 최대 낙방 폭은 농촌이나 교외지역, 지방은 더 심하겠지만 말이다. 


 

외부의 어떠한 환경적 변화나 호재, 악재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고점에 빨리 도달한다면 사이클이 빨리 마무리 될 가능성도 있다. 

 

보통은 4~5월 정도까지는 안정적이긴 하지만 6월 이후나 10월 이후부터는 조심스럽게 투자를 해야 한다. 거의 사이클이 끝나가는 기점으로 알고 있어서 이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이 있는데 한 번 다시금 확인을 하면 좋을 거 같다.

 

2024년 4월에도 계속 오를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10월 이후부터는 불안정할 것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