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단계 이론]
1. 정체감 대 역할 혼미
- 청소년기에 대한 의미 : 역할갈등이나 정체감 혼미에 빠지지 않고 개인의 정체감을 확립해야 하는 시기이다.
- 청소년기의 정체감 획득 :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어떻게 다루어야 할 거신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 정체감은 개인이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친밀감 대 소외감
- 타인과의 발달단계에서 친밀감이나 소외감을 발견
- 또래 집단에 대한 동조가 초기의 중요성을 많이 상실하는 시기이다.
- 정체감 확립 후에야 이성과의 진실한 친밀감이 가능하다고 주장함.
친밀감 대 소외감에서 이러한 갈등의 성공적 결과로 성적 친밀감, 진실한 우정, 안정적인 사랑, 지속적인 결혼 생활 등이 있다. 하지만 갈등의 부정적 결과로 소외와 외로움, 이혼과 이별, 타인과의 관계 회피, 분리와 거리감 등이 있다.
3. 생산성 대 자기침체
- 생산성은 직업이나 전문적 측면에서 사회에 공헌하는 생산적인 창조성을 말한다.
- 갈등의 결과에 따라 성공이라면 성숙한 인간이 유용하고 생산적인 인간이 되기를 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갈등의 부정적 결과로 더 이상의 발달 없는 자기침체, 자기중심적인 생각과 행동을 발현한다.
4. 통합성 대 절망감
- 노화와 은퇴로 구성되었다.
- 갈등의 성공적 해결 과거의 모든 인생경험의 융합, 통합으로 인한 긍정적 자아
- 갈등의 부정적 결과로 과거의 몯느 인생경험을 괴롭고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한다. 혼란, 무기력함, 자신의 인생, 자신을 비롯한 다른 것에 불만족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 아동기 의존으로 퇴행 등이 발생한다.
[사계절이론]
레빈스의 성인기 사계절 이론의 핵심적인 개념은 인생구조로 개인의 인생에서 강조되는 패턴이나 디자인을 의미한다. 다양한 타자들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성인의 인생 주기는 4단계로 성인 이전 시기, 성인 초기, 성인 중기, 성인후기가 있다.
성인의 인생전환기는 3단계로 성인 초기 전환기, 성인 중기 전환기, 성인 후기 전환기가 있다.
- 성인 초기 전환기 : 17~22세로 성인 세계로 첫발을 딛는 시기이다. 가능성을 탐색하고 꿈을 추구하려고 시도한다.
- 성인 초기 초보 인생 구조 : 22~28세로 결혼 가족으로부터 분리되고 꿈을 추구하려고 시도한다.
- 30세 전환기 : 28~33세로 인생 구조에 있어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재평가하고 필요한 새로운 선택을 한다.
[로에빙거의 자아발달이론]
자아발달은 도덕화, 통합, 자기체계, 인지적 복합성, 신념 발달을 포함한다.
- 발달은 한 단계씩 이루어지지만 다음 단계로의 이동은 현 단계의 발달을 완전히 이룬 후에 가능하다.
- 연령을 규정한 타 이론들과는 다르게 단계를 연령으로 구분하지 않는 점이 장점이다.
- 개인마다 발달 단계 및 수준은 매우 다름을 강조한다.
- 우리 모두 거쳐야 하는 길과 같지만 이동 속도와 도달하는 마지막 단계는 개인마다 매우 다름을 설명하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의 영혼과 의식 (0) | 2025.05.05 |
---|---|
구인배수 0.28, 하지만 체감은 더 낮다? 실질 구인배수 분석 (0) | 2025.05.04 |
병원 검사, 왜 받아야 할까? 꼭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5.02 |
축농증에 걸렸다. CT 촬영이란? 왜 필요할까? (0) | 2025.05.01 |
속 쓰림, 혹시 역류성 식도염? 원인과 해결책 (0) | 2025.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