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말씀드릴 내용은 '청소년지도사 면접' 에 관한 내용입니다.
[청소년지도사 면접.?]
제가 학점은행제를 이수하고 나서 면접을 보게 되었습니다. 면접 합격은 12월 28일날 공표가 됩니다.
이후에는 연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면접은 평이하게 본 것 같고 만약 면접을 합격 하게 된다면 이후에 연수과정을 마치고 후기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직장인 신분이라서 연수과정을 이수하는 데 제약이 있지 않을 까 염려되긴 합니다. 집체교육을 있을 때는 특정 장소로 몇 박 몇일 있어야 되니까 말이죠.
[청소년지도사 면접 질문]
1. 자유학기제와 지역사회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
가. 자유학기제는 일반 교과교육과정보다 자유롭게 진행이 되고 대학교처럼 본인이 과목을 선택하여 취득 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라고 답변드렸던 것 같습니다.
나. 지역사회의 시설과 같은 공공자원 활용을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진행이 되도록 도와주면 좋을 것 같다고 답변 드렸습니다.
2. 청소년지도사의 역할과 지역사회에서의 청소년지도사 역할
가. 지도자의 역할: 행정, 네트워크관리, 변화촉진자, 동기부여자의 역할로 설명드렸습니다.
나.지역사회에서 이러한 청소년들의 내재되어 있는 가능성과 역량들을 발굴하고 올바른 인재로 길러내는 것이 지역사회 역할 중 하나라고 말씀드렸던 것 같습니다.
3. 국제성취포상제란 무엇인가.?
: 위의 질문은 제가 꼴찌로 답변을 하게 되었습니다. 만14세에서 24세 이하 청소년들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자기성장프로그램이라고 설명드렸고 신체단련, 봉사, 스포츠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이 있고 이를 통해 단계횟수별로 포장을 한다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런데 앞의 분들과 설명내용이 많이 겹쳤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1~3개 문제를 공통적으로 질문해주셨습니다.
[면접 진행형식]
1. 多 VS 多 (다대다) 면접으로 진행
: 3명의 면접 평가위원과 3명의 면접자가 한 장소에서 서로를 대면한 채 진행이 됩니다.
2. 질문의 방법
: 제가 청소년지도사 면접을 보러 갔을 때 면접위원 여러분이 각기 다른 질문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제가 갔던 곳은 공통질문 3개를 순서에 맞게 답변을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똑같은 내용을 중복해서 말할 수 밖에 없더라고요. 저도 조금 상이해서 놀랐어요... 그리고 3개의 질문 밖에 안주셨더라고요. 저를 포함한 3분 모두에게 공통질문으로 말이죠...
3. 대기시간이 길고 면접평가는 10~15분정도 걸렸다.
: 대기시간이 무진장 길었습니다. 그리고 막상 면접에 들어가서는 10~15분정도 밖에 면접이 진행이 되지 않았어요.
[개인적인 후기]
1. 면접위원님들 성향은 케바케
: 제가 아는 지인이 청지사 면접을 봤을 경우 조금 까다로운 질문을 주셨던 것으로 지인이 말해줬어요. 선거권 하향에 대한 주제를 질문으로 주셨던 것 같아요. 면접관님들마다 케바케 질문이 있는 것 같아요. 면접관님을 어떤 분들을 접하냐에 따라서도 면접 합격의 당락 결정의 큰 요소로 작용될 수 있을 것 같아요.
2. 유튜브 참고할 것
: 유튜브 '마음으로 여는 청소년지도사.(?)' 분 영상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청지사 면접을 앞두신 분들 , 교재를 구매해서 독학으로 하시는 것도 좋지만 유튜브 청소년지도사 영상도 참고하시면 분명히 도움이 되실꺼에요.
https://youtu.be/oS3ZxwTOq9U
위의 영상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 되실거에요.
3. 블로그 후기글 참고할 것
: 네이버에 '청소년지도사 면접' 과 관련된 키워드 및 파생키워드만 검색을 하시더라도 청소년지도사 면접에 대한 후기와 면접질문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와 있을 겁니다. 또한 블로거들이 직접 정리하신 면접질문 내용을 정리해두신 분들도 계셔서 면접공부의 활용하는 데 도움도 되고요. 공통적으로 빈출이 높은 면접질문이 있는데 다양한 블로그 후기들을 참고하시면 어느 정도 맥락이 잡히실겁니다.
4. 그 외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들
https://youtu.be/ohVuwj4nwOE
청소년지도사 자격연수 시행계획 공고입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온 오프라인 교육이 같이 진행이 될 거 같아요. 온라인 교육 비중이 높으며 오프라인 교육 같은 경우에 연수시설에서 1박 2일, 9시간 정도 이수를 하면 되는 것 같아요.
https://youtu.be/_-ueiQuk94I
사회복지분야 자격증 취득자 현황
사회복지사 취득 인원 수 : 130만명
청소년지도사 취득 인원 수 : 6만 2천명
청소년상담사 취득 인원 수 : 3만명
평생교육사 취득 인원 수 : 13만7천명
청소년지도사와 상담사의 취득인원수가 적으니 경쟁력이 생길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사회복지사와 같은 자격증들을 취득해 두시면 시너지 효과가 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복지사를 취득하시면 건강가정사를 취득할 수 있고 건강가정사는 추가적으로 온라인으로 3강좌 정도만 더 수강하시면 취득하실 수 있어요. 더불어 요양보호사 자격증도 사회복지사 같은 사회복지 분야의 자격증을 소지하신 분들은 이수시간도 줄어들다 보니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건강가정사 등을 추가적으로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트진로 주류인도어 알바 후기 (32) | 2022.12.16 |
---|---|
대면모금 알바 후기 (29) | 2022.12.15 |
[직장인 부업] 엑스트라, 보조출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 (42) | 2022.12.12 |
[부업] 배우, 엑스트라의 꿈을 가진분들이 도전하면 좋은 플랫폼, 필름메이커스 (34) | 2022.12.10 |
청년실업률, 대학생 10명 중 7명이 구직단념 (36)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