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육의 확대]
1. 학교교육 같은 경우에 20세기 후반에는 거의 모든 나라에서 학교 교육이 빠르게 팽창하였다.
식민지배로부터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독립한 나라들은 식민통치 이후 우민정책의 결과로 초등교육조차도 정착되지 못하였으므로 초등학교 취학을 확대시키는 정책이 우선 급하였음. 따라서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여러 나라는 독립 직후부터 문해교육과 초등교육 그리고 이어서 중등교육 확대에 치중하지 않을 수 없었다.
2. 중등교육의 확대
- 유럽지역의 국가들은 대체로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정예주의 교육제도를 택하고 있었다.
- 종전 후에 이 나라들은 중등교육의 대중화로 방향을 바꾸었다. 초등학교 졸업자격시험을 폐지하거나 완화하고 복선제이던 중등학교 과정을 단선제 방향으로 완화하였다.
- OECD 회원국으 대다수는 의무취학기간을 15세 또는 16까지 연장하였다.
- 중등학교 취학률이 급격히 상승하고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중등학교 졸업자도 증가하였다.
3. 대학교육의 확대
- 2006년에는 북미와 서유럽을 합하여 70퍼센트에 이르렀다.
- 미국과 캐나다의 고등교육 취학률은 1997년에 80퍼센트를 넘어서는 엄청난 팽창을 기록하였다.
- 미국이 20세기 학교교육의 팽창을 가장 앞서서 이끌고 있는 셈이다.
[트로우의 미국 중등교육의 변천과정]
트로우는 미국중등교육의 변천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1. 소수에 대한 대학준비 기능
- 남북전쟁이 마무리 지어지는 1870년 이전의 중등교육
- 이 시기에는 중류 및 상류층의 정선된 소수에게만 중등교육의 기회가 주어졌음
- 미국 고등학교 졸업자 수는 16,000여명이었는데 이는 전국의 17세 인구의 2퍼센트에 불과하였고 졸업자의 대부분은 대학에 진학하였다.
2. 대중에 대한 직업교육기능
- 1870년 이후 급속한 산업화에 발맞추어 나타난 직업준비 교육이다.
- 중등학교 학생들은 대붑누 직업준비교육을 받았으며 졸업 후에는 사회에 진출하여 직업생활에 들어갔다.
3. 대중에 대한 대학준비기능
-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시작되었음.
- 대학교육이 개방되기 시작하여 1954년에는 30퍼센트로 껑충 뛰고 1960년에는 37.5퍼센트로 높아져 18~21세 인구의 대학진학률이 높아졌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고등학교 취학률은 2년제를 포함해서 1990년 38.1퍼센트에 도달하였다.
[학력상승 원인 ]
1. 동기이론
-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이 있음.
2. 학교팽창의 원인
- 인간의 증가와 경제발전으로 인한 경제적 여유의 증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힌다.
- 한국과 일본은 다른 나라에 비해 교육열이 높다는 설명이 있음.
3. 학교의 기능
- 라이머는 학교가 참된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무네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가정하였음.
- 일리치는 이를 받아들여, 그러므로 학교위주의 사회를 벗어나야 참된 교육을 되찾을 수 있다고 역설함.
- 일리치와 라이머가 강조한 학교의 기능은 보호, 선발, 교화, 학습인데 학교는 학습의 기능을 소홀히한다고 하였음.
기술기능이론에 따르면 과학기술의 부단한 발달 때문에 직업기술의 수준이 계속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의 학력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고 봄
기술기능의 한계는 다음과 같음.
- 직업세계 각각의 기술준이 학교교육 수준과 일치한다는 전제를 지켜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음.
- 교육과 고용의 불일치 현상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 고용의 미스매치라 불리는 미스매치현상
- 고용능력을 초과하는 졸업자를 배출하여 일부만 학력에 일치하는 직종에 들어가고 남는 많은 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직종으로 흘러들어 가가거나 무직자로 남는 것이다.
마르크스 이론
가. 상응이론
- 자본주의 경제구조와 학교교육은 상응관계가 있기 때문에 자본주의 경제의 확대에 따라 학교교육도 확대된다는 것이다.
- 보울즈와 진티스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용주의 구미에 맞는 기술인력을 공급하고 동시에 자본주의에 적합한 사회규범을 주입시키는 핵심적 장치로 출발하였다고 주장함.
나. 신마르크스 이론
- 차등적 사회화를 통하여 자본주의 사회구조에 상응하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학교제도는 사회의 유지, 발전에 편리하므로 미국사회는 중등교육을 보편화하고 마침내 의무교육으로까지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다. 상응이론~ 신마크르스 이론 비판 점
- 보울즈와 진티스의 신마르크스 이론은 미국의 학교 발달만을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쉽사리 일반화하기 어렵다
- 기술기능이론은 기능론, 신마르크스 이로는 갈등이론에 근거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이론은 교육을 수단적 기능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공통점을 지녔다.
지위경쟁이론
가. 학력을 통한 지위획득
- 타인보다 높은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회적 지위의 겨쟁에서 결정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나. 업적주의의 대두
- 현대 시민사회에서는 업적주의가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다. 교육수익률
- 대학교육의 수익률을 알기 위해서는 대학교육 때문에 얻은 이익을 먼저 계산해야 한다.
- 우리나라 각급 학력의 수익률에 관한 연구결과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익률이 하급학력에서 상급학력으로 높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통합이론
가. 정치적 요인에 의한 교육팽창
- 기능이론과 마르크스이론이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교육 팽창을 설명하고, 지위경쟁이론이 사회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설명한 데 비해 교육팽창을 정치적 요인에 의해 설명하는 이론이 있음.
- 국민통합이론은 국가의 형성과 이에 따른 국민 통합의 필요성 때문에 교육이 팽창되었다고 설명함
그러나 학교제도가 국가의 이데올로기 통합에 있었다는 것이고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전세계적으로 일어난 교육팽창은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고등교육 팽창과 특히 과잉교육의 문제를 설명하는 데 난점이 있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용어 공부 (0) | 2025.01.29 |
---|---|
공모전에서 생성형 AI 활용방법? (0) | 2025.01.28 |
생화 관리 방법 (0) | 2025.01.26 |
코인투자 방법, 시가총액 투자 방법 (1) | 2025.01.25 |
1억원 돈을 모으기 어렵게 하는 이유 (0) | 2025.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