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사회복지와 관련된 산업의 미래는 어떨지 챗지피티에게 물어 보았다.

by 극승 2023. 3. 5.
반응형
반응형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많은 부분에서 기술적 혜택을 누리고 있는 중이다. 우리 생활 깊숙히 이미 들어와 있다. 웨어러블기기를 착용하여 일상적으로 본인에게 필요한 영양소나 운동량을 체크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서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의 정밀화로 인간들의 일자리도 위협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연 사회복지와 관련된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줄 지 궁금해서 챗지피티에게 물어 보았다. 

[CHAT GPT 에게 사회복지의 대해 묻다]

Q: 사회복지는 미래직업으로 어떻게 생각해?

A: 저는 사회복지는 미래직업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와 더불어 미래에도 사람들은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노인 인구의 증가, 복지사각지대, 가족 내 폭력, 학교 폭력, 사회적 배려의 필요성 등 다양한 문제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일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바로 사회복지 전문가입니다. 미래에는 이러한 문제들이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이 되며 이에 따라 사회복지 전문가의 수요도 더욱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회복지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의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복지는 미래직업으로 매우 중요하고 ,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관련 전공을 선택하고 준비해야 할 것 입니다. 

 

CHAT GPT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산업의 유망성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노인인구의 증가, 복지사각지대, 가족 내 폭력, 학교 폭력, 사회적 배려의 필요성 등을 언급하면서 앞으로 미래사회에 이러한 문제가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이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고 해석한다는 것인가. 그렇다면 궁금한 것이 생겼다.

 

사회복지 전문가라고 하는 것은 '인간' 이라는 기준 하에서 그 인력이 대체될 수 있는지 말이다. 바로 로봇이나 인공지능으로 말이다. 하지만 로봇이나 인공지능이 감정을 담고 내담자나 복지 대상자를 케어한다는 것은 어쩌면 매우 정교하고 힘든 일일 것이다. 로봇에게 쉬운 일이 인간에게는 어렵고 인간에게 쉬운 일이 로봇에게 어려운 것처럼 말이다.  다음 CHAT GPT 의 답변을 보도록 하자.

[CHAT GPT에게 물어보다.]

Q: 사회복지사들이 로봇이나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수 있을까?

 

A: 사회복지사는 인간 중심적인 일을 수행하는 직업이므로 , 로봇이나 인공지능으로 완전히 대체될 가능성은 낮다.

 

사회복지사는 사람들과 직접 상호작용하면서 심리적, 정서적, 신체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 인간의 감성과 상호작용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능력은 현재로서는 로봇이나 인공지능으로 대체할 수 없는 인간적인 능력이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상황에서 민감한 결정을 내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사람들과 긴밀하게 협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일은 사람 간의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로봇이나 인공지능만으로는 대체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나 로봇 기술은 사회복지사들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활용해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로봇을 활용해 노인들의 돌봄에 대한 물리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등의 일은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일은 인간 감성과 상호작용으로 능력이 필요한 일이므로, 로봇이나 인공지능으로 완전히 대체될 가능성은 낮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HAT GPT의 생각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다. 인간의 감정과 이로인한 상호작용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로봇에게는 조금 더 복잡한 알고리즘과 기술력이 동원이 되어야 되지 않을 까 생각한다.

 

노후의 일을 하고 싶다하시는 분은 '사회복지사' '상담심리사' '요양보호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해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