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ETF 추천]
미국 ETF라고 하시면 뭔가 어려운 투자 같으신가요.? 전혀 어려워 하실 필요 없습니다. ETF라는 것은 한 마디로 '주식꾸러미'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 유튜버 '절약왕 정약용' 님 영상을 한 번 보시면 은행의 예적금보다는 미국의 ETF 투자를 해야 겠다고 생각이 드실겁니다.
출처- 유튜브 [절약왕 정약용]
ETF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한 마디로 특정 지수(주식종목)를 추종한다는 것이죠. 그 특정 지수들(주식종목들)의 주가가 등락을 함에 따라서 내가 투자한 ETF(상장지수펀드 =주식꾸러미) 도 등락을 한다는 겁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말씀드리면 원금이 전혀 보존이 안되는 것 같은 위험상품이라고 인식하실 수도 있지만 주식보다는 안전한 상품입니다. 그리고 예적금보다는 위험성 측면에서 조금 더 위험성이 있는 상품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죠. 그래도 예적금 보다는 ETF나 펀드, 채권, 달러투자 등을 통해서 수익을 극대화 하실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영상들은 달러투자, 채권투자, 펀드투자에 대한 영상입니다.
달러투자 같은 경우에 해외여행을 다녀오고 남은 달러가 있다고 하시는 분들은 달러를 그냥 실물로 보유를 할 것이 아니라 달러 RP라는 상품을 통해서 이자수익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환매조건부채권 =RP 라는 뜻으로 쉽게 설명드리면 '달러를 빌려주면 향후에 무조건 이자를 줘서 우리가 갚겠다.' 라는 의미가 됩니다.
가만히 달러를 놀고 있게 내버려 두지 말고 달러 RP나 달러관련 투자 상품을 통해서 부의 극대화를 추구해 보세요.~
채권 같은 경우에도 국공채 투자는 안전합니다. 채권은 한 마디로 '채무를 빌려줬다는 증서'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가 이사람한테 돈을 빌려줬어." 그러면 당연히 빌린 채무자 입장에서는 돈을 정해진 기일에 갚아야겠죠.? 이자까지 합쳐서 갚아야겠죠. 채권도 그런 의미와 별 반 다르지 않습니다.
국가가 사회간접자본인 수도, 국방, 상하수도 등을 만들려고 할 때 부족한 재원을 채권을 발행해서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돈을 빌려준 대상은 국민이 되는 것이고 돈을 빌린 대상은 국가가 되니까, 채권자는 국민, 채무자는 국가가 됩니다. 국가는 약속을 합니다. "이거 언제까지 이자 %쳐서 갚아줄게." 이렇게 말하고 나서 국가는 정해진 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돌려줍니다.
그런데 못 받을 수도 있지 않냐고요.? 맞아요.! 채권도 못 받을 수 있지만 국공채나 안정적인 회사에서 발행한 회사채 같은 경우에는 국가가 망하거나 회사가 망하지 않는 이상 다 회수 가능한 채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신 파산 위험이 크거나 리스크가 있는 채권은 투자를 고려해보심이 적절하겠죠.?
펀드와 ETF와 유사합니다. 펀드도 ETF처럼 '배팅'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자재, 곡물의 가격에 등락의 배팅을 하실 분들은 원자재, 곡물 관련 펀드를 사실 수도 있는 것이고 금의 가격이 장기간 보면 오를 것 같은 사람들은 금 ETF나 금 펀드를 구매하실 수도 있는 것이겠죠.?
나는 중국이나 신흥국쪽의 발전가능성과 성장가능성을 보신 분들은 해외기업이나 상품과 연계된 펀드 좌수를 매수하실 수도 있는 것이니까 말이죠.
[본론으로 돌아와서 말씀드립니다.]
하지만 미국의 대형 주식 종목인 ETF는 안전성이 매우 높습니다.
미국 S&P 500지수를 추종한다고 하는데 미국 500대 대기업의 추종지수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안전성이 높으니 주가의 점진적 성장이 가능하겠죠.? 물론 하락도 있을 수 있긴 하지만 하락 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속 묵혀두기만 하더라도 우상향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향후에 연금이나 저축용도로도 ETF를 구매할 수 있다는 말씀이 되는거죠.
이 S&P 500을 추종하는 ETF펀드의 이름이 SPY 입니다. !!! 운용보수가 꽤 저렴한 편이고 포토폴리오가 다양합니다. 테크, 헬스, 소비순환재, 금융 등 다양한 업종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여러 상품들 중에서 SPY가 규모도 제일 크고 거래량도 많은 편이라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 DIA라는 ETF에 550정도가 들어가 있고 QQQ라는 ETF에 100정도가 들어가 있습니다. 그 외에는 금 ETF, 다른 해외주식펀드에 돈이 들어가 있는 것 같아요. 국내 코스피는 일정 박스권에서 왔다갔다 하는 경향이 있지만 '방장 사기맵' 인 미국은 주가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결국 우상향하면서 치고 올라가는 게 정설인 것 같습니다.
물론 대외적으로 금융위가나 각종 사태 (이번처럼 우크라이나 사태) 가 터지면 주가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결국에 그러한 위험이 지나가면 결국에는 점진적 우상향 하는 것이 미국 ETF의 큰 특징입니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버 '구해줘 부업' 사기거래소 ? (0) | 2022.04.09 |
---|---|
카카오뷰 컨텐츠 선정, 뉴스의 5가지 가치로 시도해보자. (0) | 2022.04.09 |
코로나 백신접종 그 그늘을 알아보자. (0) | 2022.04.07 |
대한민국 국민 1인당 국민 소득 35,000달러 돌파? (0) | 2022.04.07 |
ITQ 파워포인트 A등급 취득 후기 (0) | 2022.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