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인당 국민소득 35,000달러 돌파했다고?]
안녕하세요. 이번 후기는 '국민 1인당 국민 소득 35,000달러 돌파' 에 대한 내용입니다.
'출처- 슈카월드
대한민국 1인당 국민총소득이 35,000달러를 돌파했다고 합니다. 정말 신기합니다. 뭔가 저는 개인적으로 더 살기 어려워졌다고 생각하는데 국민총소득이 35,000달러를 돌파했다니 말입니다. 물론, 물가상승률이 있어도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매출 순위는 높은 편인 거 같습니다. 특히 자동차 시장쪽에서 호재 뉴스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https://www.news1.kr/articles/?4636963
현대차·기아, 올해 1분기 국내 판매 27만대…친환경차는 성장가도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현대차가 전년실적 대비해서 감소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래도 현대차 수출 실적은 상당히 기대 이상으로 부흥했다는 평가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대한민국 국민소득 추이가 다음과 같이 변화해 왔습니다.
- 2000년 :12,000달러
- 2010년 : 23,000달러
- 2021년 : 35,000 달러
한국은 2019년 12위로 내려갔다가 2020년과 2021년에 10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수출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오미크론 확산으로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공급망 차질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가속화,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며 "우리 경제가 직면한 대내외 여건을 보며 막중한 책임감에 어깨가 무겁다" 고 말했다.
수출 : 대기업에서 해외로 열심히 노동자들이 일을 해서 수출을 해서 국내 경제에 기여
오미크론 확산 :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영업시간 제한, 사적모임 제한 등으로 인해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지속, 공급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유통업자들 또한 마진을 남겨야 되기 때문에 힘들어 함.
만약 사적모임 제한이 완화가 되거나 영업시간이 늘어나고 각종 코로나 지원금이 선별적으로 자영업자들에게 지원이 된다면 어느 정도 자영업자들에게 단비가 되어줄 수 있다고 생각함.
글로벌 인플레이션 : 우크라이나 사태와도 연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으로 인해서 해외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우리나라도 자유로울 수 없음. 특히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한 곡물의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아서 해외보다 곡물에 대한 가격 인플레이션율이 상당히 높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함.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버 부업의 대명사 [절약왕 정약용] 님의 미국 ETF 추천 (0) | 2022.04.08 |
---|---|
코로나 백신접종 그 그늘을 알아보자. (0) | 2022.04.07 |
ITQ 파워포인트 A등급 취득 후기 (0) | 2022.04.07 |
부모의 표정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0) | 2022.04.06 |
ITQ 엑셀 취득 후기 (0)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