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단편영화, 숏드라마 전성 트렌드?]
최근의 유튜브에서 보면 대형 유튜버들이 스스로 채널에 숏드라나 단편영화 등을 구현하는 모습 들을 보여주는 것 같다.
-출처 유튜버 짤툰
유튜버 짤툰님의 숏드라마다. 예전에는 특정 채널마다 나오는 브랜드 캐릭터들이 브랜딩화 되었다고 생각을 한다. 대표적으로 짤툰하면 생각나는 게 '땅땅이' 다.
"야 이 xㅂ넘아 " 땅땅이 특유의 귀엽고 강렬한 욕짓거리에 불편함보다는 친근함과 애교가 섞여 있는 느낌이 많이 있어서 욕을 들어도 큰 불편함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캐릭이다. 현재 내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나오고 있는 대형 유튜버들이 보여주는 면모는 가상 속 브랜딩화된 캐릭터뿐만이 아니라 현실에 있는 배우나 연예인들 가용해서 만드는 각종 영화나 숏드라마, 단편드라마 같은 형식이다.
물론 가상 속 세계의 캐릭터들과 현실의 인물들과 복합하여 유튜브 컨텐츠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유튜브에서 보여지고 있는 숏드라마, 단편영화, 드라마 등의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공중파에서 나오는 각종 드라마 보다 좀 더 생생하고 '날 것' 형태로 진솔하게 제공을 함과 동시에
스낵컬쳐성 문화로 빠르게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특성과 전문적이지 않아 보이는뭔가 'B급감성' 의 매력과 기존의 형성해 온 유튜브 구독자들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가 있어서 많은 관심을 끌 수 있다.
-출처 유튜브 두친구
위의 드라마도 보면 현재 사람들이 많이 관심있어 하는 사회적 이슈 중의 하나인 '허위딜러' 를 날카롭게 꼬집은 유튜브 드라마이다. 현 시대에 살아가면서 사람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문제, 사회적 문제 등등을 추리면서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면서 (배우, 엑스트라) 좀 더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B급 영화라고 할 수 있지만, 사실 상 배우들의 연기력이나 시나리오 구성도 그리고 무엇보다 그런 컨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이 어떠한 깊은 여운이나 감동을 준다고 하면 B급 컨텐츠 이상의 걸작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리고 본인이 느꼈던 감정들을 서로 간의 향유하고 소통하고 공감하는 과정을 유튜브 '댓글' 란을 통해서 '따봉' 을 통해서 공감을 한다. 단순히 유튜버들이 제공하난 숏드라마, 단편영화, 단편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내 감정을 공유함으로써 연대를 느끼고 정신적인 카타르시스 또한 얻는다.
-유튜버 출처 진용진
진용진의 '없는 영화' 라는 타이틀의 단편영화이다. 위의 영상에서 담고 있는 부정적인 가치는 '혐오' 이다. 한 번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말로 설명드리기에는 텍스트에서 보여주는 한계성이 있기 때문이다. https://youtu.be/Y8ytKI3nhwo
출처 - 유튜버 뷰티풀너드
공감 가는 소재 애환, 교훈, 공감 뷰티풀너드에서는 청춘들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선보였다. 그 내용이 마치 현 세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춘의 면모를 보여준 것 같아 더 공감이 갔다.
- 취업을 하고 싶지만 녹록치 않은 현실
- 코인에 빠진 친구
- 나보다 잘난 사람들을 보고 느끼는 경쟁의식, 열등감
- 대기업을 퇴사하고 치킨집을 하는 사장님
[개인적인 시청 후기]
1. 보다 더 현실적이라 잔혹적
공중파 드라마에서는 말도 안되는 희망을 가미한 요소가 많이 있다. 하지만 유튜브 단편드라마, 숏드라마, 단편영화에서는 보다 더 처절한 현실을 살아가는 평범한 소시민들의 애환을 보여준다. 주인공이 현실을 극복하고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지만 현실을 너무 냉철히 반영해서 그러한 바람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클로즈업 되면서 마무리가 되기도 한다.
2. 유튜브 단편영화, 숏드라마,단편드라마 전성시대
내가 잘 모를 수 있는데 이미 몇 년 전부터 단편소재들이 등장해서 유튜브 컨텐츠로 활용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중, 대형 유튜버들이 이러한 컨텐츠를 많이 제공해줘서 볼거리가 많아진다느 즐거움과 대형 유튜버들의 브랜드 입지도를 더 견고히 해 줄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또한 소형 vs 중, 대형 유튜버들의 조회수 차이도 높아지는 것 같다.
앞으로도 이러한 단편영화, 단편드라마, 숏드라마 등의 컨텐츠가 나왔으면 좋겠다. 공중파에서 표현하고 적나라하게 내비치지 못한 사회적 문제를 직 간접적으로 암시하며 그러한 부분에서 느끼는 감정을 공유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이제 회피하지 말고 직접적으로 대면해야 될 때이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드랑이 땀, 대처법 (22) | 2022.05.26 |
---|---|
카카오톡 내용 백업 방법 (6) | 2022.05.25 |
온라인청년센터 소개 (14) | 2022.05.22 |
국민연금 수령액을 늘릴 수 있는 방법 (14) | 2022.05.21 |
눈 건강이 안 좋으면 되도록 피해야 하는 운동 3가지 (28) | 2022.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