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의료관리자 공부 내용

by 극승 2023. 12. 6.
반응형

[의료관리자 공부내용]

1. ILO 해사 노동협약

1) 선원의 건강진단이 목적입니다.

2) 선내 및 육상에서의 의료관리입니다. 

3) 선원의 복지 및 사회보장 등

4) 의료관리자의 승무기준과 업무의 내용등에 관한 사항입니다.

5) 의료관리자의 교육의 수준 및 재교육에 관한 사항 등 명시합니다.

 

위의 내용은 선박에 탑승한 의료관리자에 역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STCW 협약

1) 훈련과 자격증명을 위한 지식과 기술 등의 최저기준입니다

2) 의료 응급처치 및 의료관리담당 또는 의료관리에 관한 강제적 최적 요건 명시합니다.

3. IMO 모델 코스

- 교육 내용과 과목별 시수 등을 제시하고 총 45.5 시간의 최저 교육시간 요구합니다.

- 시설과 장비의 최저 요건입니다.

 

의료관리자의 기본적인 역할과 업무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특히 각종 협약에서 말하고 있는 의료관리자의 내용을 잘 이해해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승무 관련 지식]

선내 취급 의약품은 적정 의료비품을 구비하고 주기적 조사하여 최적의 상태로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최적의 상태로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수량은 향해기간 및 목적지, 선원 수, 화물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선내 취급의약품 관리는 선장에게 최종책임이 있으며 선내 탑승자에게 제공된 치료기록을 선박일지에 기록하여 보관한다. 또한 선장은 통제약물의 기록을 유지 해야 되며 기록부의 마지막 등록일 이후 2년이 지나기전에 폐기해서는 안된다.

 

약품은 일반 명칭 또는 허가된 약품 이름으로 구분해야 하며 약품의 양과 유효기간이 보관용기에 명시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것이 있을 경우 폐기처분해야 한다.

 

일반적인 약품들은 상자, 선반에 보관하며 통제약품 경우 잠금장치가 있어야 하며 아무도 쓰지 않은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보관온도는 일반적으로 15~25도 냉장보관은 2~8도이다. 

 

통제약품은 선장으로 하여금 선상약품에 대한 일반적인 공표하도록 하며 최종 입항 후 2년간 약품등록을 유지해야 한다. 의사요청이 없으면 정해진 양보다 많이 통제 약품을 보유할 수 없다.

 

의사의 승무

- 3일 이상의 국제향해의 종사하는 선박으로 최대 승선인원 100명 이상인 선박

-  모선식 어업에 종사하는 어선 (5천톤 이상, 승선인원 200명 이상)

의료관리자의 승무

- 원양구역을 향해구역으로 하는 5천톤 이상의 선박, 총 톤수 300톤 이상의 어선

향해 중의 건강진단 유효기간이 만료될 때 향해가 종료될 때 

 

의사와 의료관리자가 어떠할 때 승무해야 하는지 그 기준점과 차이를 명확히 알아두셔야 합니다. 의사의 승무요건을 물었는데 의료관리자의 승무요건이라고 착각을 하시면 안됩니다. 

특수건강검진 항목

- 씨비씨 검사, 소변검사, 매독반응 특별검사를 시행합니다. 특수건강검진 항목은 3가지 항목이 있으므로 이 항목을 잘 외워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일반건강진단 합격 판정 기준

- 갑판부 선박지원 및 당직 부원 - 만국시력표로부터 5미터의 거리의 거리에서 교정시력이 각각 0.5이상일 것

- 기관부 선박지원 및 당직부원 통신사 - 만국시력표로부터 5미터의 거리에서 두 눈의 교정시력이 가각 0.4이상일 것

 

갑판부 직원은 좀 멀리 있는 곳을 봐야하기 때문에 0.5라고 생각을 하면서 외웠습니다.

반응형

[의료관리자에서 출제되는 우리 몸에 관한 내용입니다.]

1. 관절

관절은 섬유관절 연골관절, 윤활관절로 구분된다

섬유관절 - 섬유조직에 의해 결합되어 두개골과 같이 움직이지 않아 부동관절이라 한다

연골관절 - 작은 움직임만 가능해서 반관절이라 한다. (흉골과 늑골)

윤활관절 - 윤활액이 포함되어 있어 팔, 다리, 어깨 등 동관절이라 한다.

2. 근육계

근조직에서는 골격근과 평활근, 심근에 대해 비교를 다루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설명을 읽고 해당 근육이 골격근인지 심근인지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부분을 유의하시고 공부하시면 의료관리자 시험은 합격하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근조직은 기능적으로 수의근과 불수의근으로 나뉜다. 구조적으로 횡문근과 평활근으로 부위에 따라 골격근, 내장근, 심근으로 나뉜다. 일반적 기능은 화학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와 열로 변환시킨다.

 

골격근은 본인의 의지로 움직여 수의근이며 인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육으로 근섬유에 가로무늬가 있어 횡문근이라 한다

 

평활근은 민무늬근육이라 하며 내부 장기의 운동을 지배하여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움직이는 불수의근이다.

심근은 가로무늬를 가진 횡문근이나 기능상 자율신경의 조절을 받는 불수의근이다. 심근운동은 1분에 60~80회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벽을 안쪽에 심내막, 바깥쪽을 심외막이 덮고 심장 전체를 섬유성막으로 싸고 있는 걸 심낭이라 한다. 심낭 내에는 심낭액이 30~50ML 들어 있어 심장 운동시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 한다.

 

심장 내 삼천판, 승모판, 반월판 등의 판막이 피의 역류를 방지한다.

 

좌심실 - 대동맥- 동맥 - 세동맥 - 모세혈관 - 세정맥 - 정맥 - 대정맥 - 우심붕 순으로 혈액이 순환되는걸 대순환

우심실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좌심방에 이르는 혈액순환을 폐순환이라 한다.

 

정상적인 사람의 심박동시 1회 박출량은 약 70ML

 

간의 기능

화학 공장 역할을 합니다.

담즙 분비 역할을 합니다.

노폐물 제거 역할을 합니다.

에너지 생성 역할을 합니다.

당의 생성과 분해 역할을 합니다.

혈액 조성 역할을 합니다.

 

담낭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한다  비뇨기계에서 신장의 최소 기능 단위는 네프론이며 네프론은 신소체, 세뇨관 집합관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간의 기능은 시험에 출제될 확률이 높아서 간의 기능을 명확히 알아두셔야 합니다. 시험에서는 간의 기능이 아닌 항목을 하나 삽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의 기능이 아닌것은?' 이라고 문제가 나오실 때 이를 구분해서 문제의 정답을 맞출줄 아셔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