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코인 투자 지표

by 극승 2025. 2. 25.
반응형

[코인 투자 지표]

1. MVRV 

  • 코인의 시장 가치와 실현 가치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실현가치는 각 코인이 마지막으로 이동된 시점의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MVRV>1.5 : 과매수 상태, 가격 하락 가능성 증가.
  • MVRV <1.0 : 과매도 상태, 저평가 구간이다.

추가적으로 3.75 이상이 된다면 매도를 적극적으로 고려해볼만한 구간이다. 1.5가 넘는 건 과매수가 맞긴한데 매도해야 되는 타이밍은 조금 더 지켜봐야 된다는 것이다.

 

2. 김치 프리미엄

한국 거래소의 비트코인 가격이 글로벌 거래소 가격보다 높거나 낮은 정도를 말합니다. 김치 프리미엄이 10~15% 정도 된다면 적극적으로 매도 고려를 해야 됩니다

 

3. 펀딩피

  • 선물 거래소에서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지급되는 수수료입니다.
  • 펀딩피가 0.1%~0.2%가 되면 매도를 고려해야 한다.
  • 양수 : 롱 포지션이 우세, 시장 심리가 강세
  • 음수 : 숏 포지션이 우세, 시장 심리가 약세

4. 푸엘 멀티플

  • 채굴자의 수익과 비트코인의 공급량 간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 일일 발행 가치/ 365일 이동평균 일일 발행 가치이다. 
  • 1이하 : 저평가 구간 매수 기회
  • 3이상 : 과매수 기간, 매도 신호

만약에 3.5 이상이면 적극적으로 매도를 해야 되는 구간이다.

 

5.  RSI

  • 시장의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측정하는 기술적 지표이다.
  • RSI >70 : 과매수 상태, 가격 조정 가능성이 있다.
  • RSI <30 : 과매도 상태,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다.

상대적 위험지수인 RSI가 70이 넘어갔을 때 적극적으로 매도를 해야 되는 구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6. SOPR

  • 사용된 UXTO의 평균 이익률을 계산 
  • 투자자들이 수익을 보는 기준을 의미한다.
  • SOPR>1 : 이익 실현 중, 강세장 신호이다.
  • SOPR<1 : 손실 실현 중 약세장 신호이다.

단기투자자들이 1 보다 높은 신호일 경우 매도를 할 때 수익을 보면서 매도를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반응형

7. NUPL

  • 네트워크 미실현 이익 손실 상태를 나타낸다.
  • NUPL >0.75 : 과열된 시장 매도 신호
  • NUPL<0.25 : 저평가 상태이고 매수 신호이다.

8. 거래소 보유량

  • 거래소에서 보유 중인 비트코인 총량이다.
  • 보유량 감소 : 비트코인을 장기 보유하기 위한 인출, 강세 신호이다.
  • 보유량 증가 : 매도 압력 증가, 약세 신호이다. 

9.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채굴 난이도를 나타냅니다.
  • 해시레이트 증가 : 네트워크 안정성 증가, 긍정적 신호이다.
  • 해시레이트 감소 : 네트워크 약화 가능성이 있다.

10. 온체인 데이터

  •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다
  • 활성 주소 수, 거래량, 고래 지갑 활동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