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문제2 악플전쟁, 우리는 좀 더 친절하게 말해 줄 필요가 있다. [악플전쟁]우리는 인터넷 커뮤니티나 각종 SNS 채널을 보면 자신과 의견이 다르거나 관점이 다르다고 해서 비난을 하거나 비판을 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정치' 가 있다. 각 정당의 극성 지지자들은 자신들이 잘한 정책과 행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를 좀 먹는 정당은 타 정당이라고 비난을 한다. 타 정당이 못해서 우리나라가 발전이 없다라는 식으로 매도를 하고 선거 같은 이슈가 있으면 상대 당의 잘못하거나 부족한 점을 꼬집거나 이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이야기를 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서로 간의 악플을 다는 이유를 우리는 적절하게 고려를 해 보았는가? 그냥 상대가 싫어하는 치부를 건드려서 기분이 나빠서 이야기를 하는 것일까? 아니면 서로 간의 오해와 갈등이 깊어져 깊.. 2024. 8. 23. 다시 한 번 생각하는 한국의 사회문제 [한국 사회문제] 안녕하세요. 이번에 얘기해 볼 것은 한국 사회 문제 입니다. 이 얘기를 하게 된 이유가 제가 아는 지인이 경기 서울권의 인구 과밀화 문제를 지적해서 이런 얘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인구과밀화로 인한 주택문제, 쓰레기문제, 환경오염문제, 주택문제, 범죄문제, 삶의 질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파생시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 번 다른 사회문제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저출산 초고령화 사회 문제 불평등 문제 미래세대 삶의 불안잔성 고용불안 1. 저출산 초고령화 사회문제는 한국을 대표하는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출산율: 0.83, 초고령화 사회는 멀지 2026년에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다고 들었다. 2. 지니 계수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수치가 높아짐. 점점 더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 .. 2021. 8.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