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병원동행매니저 응급상황 대처

by 극승 2023. 8. 23.
반응형

 

병원동행매니저와 관련한 공부 내용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심정지와 생존사슬]

-공급이 완전히 정지되어 각 조직에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직의 기능이 마비된 상태를 말한다. 

운명적 요소 :

심정지의 원인, 환자의 연령, 심정지의 목격 여부, 목격자의 심폐소생술 시행 능력, 심정지 초기 심전도 소견

인위적 요소 :

응급의료 체계의 반응시간, 심폐소생술 보급 정도, 심정지로부터 심폐소생술이 시작될 때까지의 기간, 전문소생술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자동심장 충격기의 보급 여부와 같이 응급의료체계와 연관되어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반응형

[심정지 환자 발견했을 때의 행동요령]

1. 현장 안전의 확인

- 심정지 환자를 발견하였을 경우에 모든 구조자는 현장이 안전한지를 확인한 후 구조를 시작하여야 한다.

2. 의식상태 확인

- 즉시 외부손상과 의식상태를 확인한다. 환자를 부적절하게 이동하면 손상이 악화되거나 척수가 손상될 수 있다.

3. 응급의료 체계 연락

- 목격자는 응급의료 체계에 전화 연락을 함으로써 자동심자충격기가 현장에 빨리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4. 응급의료체계 신고

- 119에 연락할 때 응급상황 발생위치,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도움이 필요한 환자의 수, 환자의 상태, 환자에게 시행한 치료내용, 다른 질문이 없는지 확인, 전화로 가르쳐준 처치방법을 시행하기 위해 통화를 잠시 멈추는 것을 제외하고는 응급 의료 전화 상담원이 더 이상의 의문사항이 없음을 확인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않는다.

5. 환자의 자세

- 딱딱하고 평평한 바닥에 눕힌다. 호흡이 없는 환자는 반드시 양팔을 몸통에 붙여 똑바로 눕혀야 한다.

 

[심장]

심장마비는 심장의 펌프기능이 중단된 상태를 말한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뇌는 혈액 공급이 4~5분만 중단돼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의 기본적 3요소

기도의 유지 -> 호흡 -> 순환

호흡

- 기도가 유지되어도 호흡이 멎으면 장기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 내지는 없어지게 됩니다.

- 그러므로 인공호흡은 환자의 폐에 산소를 공급하는 기본이 된다

- 인공 호흡이 실시되기 전까지는 계속 호흡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순환

- 심장박동이 멎은 경우 가슴을 압박하여 다시 심장박동을 소생케 하려는 시도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