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일본 난카이 대지진

by 극승 2024. 8. 16.
반응형

[난카이 대지진]

요즘에 유튜브를 보면 난카이 대지진과 관련해서 음모론과 거의 비슷할 정도로 많은 영상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공식적인 채널이나 신뢰도가 높은 채널에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측면도 있다.  아래와 같은 이미지를 보면 YTN, 스브스 뉴스 등등에서도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 있다. 

 

난카이 대지진은 일본에서 발생하는 일본 역사에서 발생하는 지진이고 일본 서부지역과 해얀지역의 막대한 피해를 줬는데 난카이 해곡을 따라서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그중에서 일본에게 막대한 피해를 준 난카이 지진 중 하나는  1946년 발생한 쇼카이 난카이 지진이다.

 

그 당시 일본은 전쟁 때문에 피폐한 상황이었는데 쇼카이 난카이 대지진은 엄청난 피해를 주었고 1300명 이상의 피해자와 10만채 이상의 건물이 파괴되었다고 합니다. 

 

아래와 같이 난카이 대지진과 관련한 음모론이나 찌라시일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나오는데 아래 진포터라는 유튜버 말고도 미스터리 채널에서 난카이 대지진의 발생 가능일을 예측한 유튜버 영상이 업로드 되는 것을 많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이 사실일 수 있고 거짓일 수 있는데 난카이 대지진과 관련한 정확한 발생 예측 시기는 아무도 모른다는 점과 일본의 저명한 인사들이 일본을 탈출하고 있거나 한국에 긴급 임시거처를 요청했다는 내용도 진실인지는 추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HHDhOofFSc&t=126s

 

반응형

[난카이 대지진 현황]

1. 지난 8월 8일 일본 규슈 미아자키현 앞바다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하였고 이후 일본 기상청은 사전 주의 정보를 발표함. 

2. 8월 9일 가나가와현에서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함.

3. 8월 10일 훗카이도에서 규모 6.8의 지진이 발생함.

 

이로 인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국민들은 생필품이나 비상식품을 사재기한다고 합니다.  난카이 대지진 같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설명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난카이 대지진의 주기는 100~150년 주기로 발생을 한다.
  • 난카이 대지진은 판구조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논리 내용으로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한계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각 내부의 있는 층까지 일어나는 미세한 지각변동까지 관측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 지진의 발생주기나 그 여파가 미래에도 동일하게 반복된다고 하는 주기의 보장성이 없다.
  • 데이터는 불완전하고 앞으로 기술발달이나 판 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들이 많기 때문에 과거의 데이터를 신뢰하는 것도 무리가 있다.
  • 지각은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가 있다라는 특징이 있다.
  • 지각의 전조 증상이 발생했다고 해서 무조건 지진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난카이 대지진의 현재 여파]

1. 일본 여행 취소

일본여행을 취소하는 분들이 있다고 했습니다. 정확한 통계는 잘 모르겠으나 일본의 대지진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서 휴가나 여행 때 일본여행을 취소했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2. 난카이 대지진과 관련한 가짜뉴스 조심

난카이 대지진과 관련해서 근거없는 소문이나 뉴스 등을 퍼나르는 유튜버와 가짜뉴스가 많다고 합니다. 근거 없는 억측과 뉴스는 자제해야 되는데...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본인에 입맛에게 맞게 뉴스를 악의적으로 편집하거나 해서 신뢰성 없는 보도를 퍼나르는 경우가 많으니까 시청자들의 혜안과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3. 규모 8~9 이상의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피해규모는 상당히 크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보다 피해규모가 클 수 있다고 합니다. 최대 23만명의 달하는 실종자와 사망자가 나올 수 있고 209만채 이상의 건물이 파손될 분석도 나오고 있고 오사카와 나고야 등에도 피해가 확산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귀가하지 못하는 일본의 주민들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