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7 한국의 저출산, 어떻게 해야 하나 한국에서 애 낳고 기르는 부분에 대해서 정말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한국은 OECD 가입이 된 선진국 반열에 속하는데 뭔가 사람들은 생각이 다른 것 같아요. '살기 좋다고 행복한 건 아닌 것 같아요.' 한국이 그런 상태가 아닐까요? 그러다 보니 우리가 여겨왔던 소중한 가치들이 무너지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저출산, 어떻게 바라볼까?]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인구 고령화, 인력 부족, 사회 안정 등의 문제와 연관지어 우려하고 있습니다. 저출산은 인구 구조의 변화와 관련하여 사회적, 경제적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출산율 감소는 사회적인 가치 변화, 여성의 사회 경제 참여 증가, 부동산 가격 상승 등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와.. 2024. 2. 2. 2023년 4월 출생아 수 , 대한민국의 숨통을 조여오는 저출산의 위협 4월 출생아 수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려고 포스팅을 열게 되었습니다. [저출산 관련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neNO6Gsz-AI 4월 출생아 전년 같은 동월 대비해서 12.7% 급감했다는 뉴스입니다. 워낙 많은 분들이 출산율에 관심도가 높아지긴 했으나 출산에 관심을 가지고 출산을 하려는 사람들은 아직 많이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무래도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경제적인 요인 사회적인 요인 남녀갈등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 주택문제 뭐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을 합니다. 여러분들 중에서 혹시 결혼을 생각하고 계신 분이 있으신가요? 저출산이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여러분들이 생각하시기에 대표적인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 2023. 11. 28. 우리나라 현 경제지표에 대한 고찰 feat 유튜버 얼음사이다 안녕하세요. 이번 후기는 우리나라 현 경제지표에 대한 현실을 좀 고찰해보려고 포스팅을 적게 되었습니다. (영상은 유튜버 얼음 사이다님 동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 [요약] 종합부동산세, 취득세, 양도소득세 등 부동산 보유 및 거래에 대한 세율을 대폭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함. 지금도 임대사업자들 보면 각종 세금폭탄을 맞고 있다고 함. 1. 우리나라 현재 부동산 전세나 매물이 씨가 마르고, 거래량도 줄었음. 부동산 가격정책 실패로 해외 거대 자본을 가진 중국인들이 강남의 좋은 집을 사들여 이후에는 중국인들한테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가의 자본이 해외로 유출될 수 있다고 지적 현재 진행중이라고 생각 2. 경제지표. 이거는 뭐 말할 게 없음. 다양한 외부환경, 내부 환경 요인 등으로 IMF보다 더 심함... .. 2021. 2.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