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경제학, 경제학 시장 유형

by 극승 2024. 2. 10.
반응형

[시장형태]

  완전 경쟁 완전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재화의 동질성 동질적 단일 소수 다수      
가격통제력 동질적 단일제품 동질적, 이질적 이질적      
진입장벽 진입의 자유 없음 매우 강함 매우 강함      
비가격경쟁 없음 없음 매우 강함 매우 강함      

 

  완전 경쟁 완전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판매방법 경매 단순 홍보 광고 및 품질경쟁 광고 및 품질경쟁
사례 쌀, 과일 전기, 수도, 철도 설탕, 철근, 승용차 약국, 음식점
기업 수 무수히 많음 단일 소수 다수
         
         
         

 

제품의 가격결정은 최적생산량 결정이라고 해서 한계수입과 한계 비용이 일치하는 점에서 결정함.

-->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적생산량을 결정함. 

 

판매가격 결정은 공급량과 수요량이 일치하는 점에서 판매가격을 결정함

--> 최적생산량을 가장 비싼 가격에 판매하여야 함 

 

[완전경쟁 시장의 특성]

 

1. 경쟁의 의미

- 시장 구조와 관련된 특성임

-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행위임 

 

2. 성립조건 

- 가격순응자 : 시장에 참여하는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가격순응자가 되려면 다음의 조건을 갖추어야 함

 

가. 시장참가자의 소규모 다수성

- 시장에 참여하는 개별거래자의 거래규모가 시장 전체에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야 함 

- 개별 거래자의 거래행동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어야 함

 

나. 제품의 동질성

- 공급자의 상품 품질이 모두 동질적이고 규격이 같아서 일물일가의 법칙 존재

 

다. 자원의 완전 이동성

- 시장의 자원이 독점되어 있지 않아야 함

- 새로운 기업의 진입이나 퇴출이 자유로워야 함. 

 

시장의 완전성 조건은 완전한 정보와 거래 비용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점시장의 특성]

 

-- 단기균형 -- 

독점기업은 가격결정자 역할을 하게 됨

단기균형에서 P>MC임에 주의해야 함. 가격이 한계비용보다 크다.

독점자의 경우에는 공급곡선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단기균형을 나타내는 점에서 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보다 큰 값을 가짐 

 

-- 장기균형 -- 

독점 기업은 단기에서보다 장기에서 더 큰 이윤을 얻을 수 있음. 

장기에서 남아 있는 독점 기업이라면 최소한 0 이상의 경제적 이윤을 얻음.

 

[가격차별]

 

제1급 가격차별 

독점적 생산자가 자신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패턴에 대해 완벽하게 파악함

모든 소비자에게 각각 다른 가격을 매김

한 소비자에 대해서도 보상수요곡선을 따라가면서 처음에는 높은 가격을 매김

 

제2급 가격차별

판매할 상품을 몇 개의 덩어리로 나누고 각 덩어리에 대해 다른 가격을 매기는 것 

소비자 잉여 중 일부분만 소비자에게 남겨줌 

독점자가 제 2급 가격차별을 시행하기로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정보의 비대칭성

 

[산업의 장기경쟁균형모형]

장기경쟁균형모형 

- 기업들의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로 인해 장기적으로 시장가격이 평균총비용의 최저치와 같아지는 균형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라고 합니다. 

 

경쟁시장

그 시장 안에 있는 어떤 하나의 기업도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시장을 말함

기업은 시장가격을 기업에게 주어진 가격으로 보기 때문에 자신의 수요곡선이 수평인 것으로 생각함. 

 

범위의 경제

- 한 기업이 2개 이상의 제품을 함께 생산할 때 비용이 적게 드는 현상을 가리킴 

 

탄력성은 수요함수 및 공급함수 상에서 각각의 수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크기에 따라 수량이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냄.

가격탄력성은 어느 상품의 가격변화율에 대한 수요량과 공급량의 변화율의 비율이다.

소득탄력성은 소비자의 소득변화율에 따른 수요량이다. 공급량 변화의 비율이다.

교차탄력성은 어느 한 상품의 가격변화율에 따른 다른 상품의 수요량이다.

 

그럼 완전탄력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가격의 변화율에 대해 수요량 또는 공급량이 무한하게 크게 변하는 경우이다. 무한하게 크게 변하는 경우는 무한하게 증가할 수 있고 무한하게 감소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