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여러분들에게 말씀드릴 내용은 '외부경제' 에 대한 내용입니다.
[외부경제의 개념]
외부효과가 발생할 때 외부적으로 편익 발생 (외부경제)이 됩니다.
외부효과가 발생할 때 비용 또는 손실 발생 (외부불경제)이 됩니다.
외부효과가 발생할 때 외부적으로 의도하지 않든, 의도하든 어떠한 결과값이 긍정적일수도 부정적일수도 있다는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서 어떤 기업의 행동으로 인해서 환경오염이 발생할수도 있는 것이고 기업의 입점으로 인해서 그 주변의 상권이 활성화 되거나 주변의 역세권이 세워질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생산외부성
- 특정 기업의 경제활동이 적어도 1개 이상 다른 기업의 생산함수에 영향을 줌
- 소비자의 효용함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외부효과입니다.
- 과수원 농장과 양봉업자가 그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특정한 기업의 경제활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다른 기업의 생산함수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가 됩니다.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가령 옷을 판매하는 기업이 입점해 있다고 한다면 패션에 관심이 많은 주변 소비자들이 신발가게에 와서 옷과 매칭이 되는 신발을 같이 구매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소비외부성
- 특정 소비자의 경제활동이 적어도 1인 이상의 다른 소비자의 효용함수에 영향을 줌
- 기업의 생산함수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외부효과입니다.
- 훌륭한 경관, 신선한 공기가 그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생산외부성 같은 경우에는 생산함수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소비외부성 같은 경우에는 효용함수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외부경제로 인해 시장실패가 발생하는 경우 시장요인을 통한 간접규제인 내부화 방안, 정부의 직접규제, 정부의 직접 투자 등 정부가 개입을 해서 외부경제로 인힌 시장실패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경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면접, 기업이 원하는 신입의 리더 인재상? (1) | 2024.02.13 |
---|---|
경제학 이해의 도움이 되는 공부내용 정리 (0) | 2024.02.12 |
경제학, 경제학 시장 유형 (1) | 2024.02.10 |
스캠코인 사기 (0) | 2024.02.09 |
삼성전자는 해외투자 시 어떠한 점을 고려할까? (0) | 2024.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