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관광 E배움터에서 알려주는 여행관련 용어 정리

by 극승 2024. 6. 20.
반응형

 

[여행용어]

1. API : 운용체제와 응용프로그램 간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메시지나 형식

- 네이버와 여행사가 제휴작업을 한다고 했을 때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서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 연결 및 연동을 의미합니다.

2. ASP : API 제휴가 어려울 때 여행사 홈페이지를 제휴사에 그대로 제공하는 방식 

아웃링크와 아이 프레임 방식이 있다.

3. 서버 : 메모리 자원을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모아둔 대용량 컴퓨터

- 서버에는 개인 정보 및 중요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보안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보안이슈로 인해서 전문업체를 통한 위탁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위탁관리를 시행하고 있는 업체를 데이터센터라고 부른다. 저장해야 하는 정보가 증가하고 서버의 용량, 수를 늘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정보를 위탁하고 관리하고 있는 서버스를 클라우드 서버라고 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트래픽 폭주, 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 유리하다. 과도한 설비 투자를 방지할 수 있다. 

 

4. 메타 북킹 : 여행사(공급자)의 상품 노출 운영방식

- 한 개의 공급자가 아니라 다수의 공급자로부터 API 방식으로 상품을 공급받고 난 이후에 가격, 조건 등의 특정 기준값으로 검색하는 방식이다. 쿠팡, 티몬, 위메프, 11번가 등의 소셜업체들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5. 메타 서치 : 메타북킹과 상품 노출 운영방식이 동일하지만 고객이 최종 결제 시 공급자의 결제단을 이용하게 됨

- 결제 단계에서 여행사 사이트에서 결제가 된다. 대표적으로 네이버 여행상품, 스카이스캐넌, 카약 등의 업체등이 있다. 항공권 확인 후 결제를 시도하면 항공사가 여행사 홈페이지로 이동되어서 결제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반응형

[여행상품 채널 커머스 채널의 변화]

1.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 비즈니스 모델이 변화할 때 글로벌 여행상품 판매 커머스채널도 순위도 변화한다. 여행사가 기업의 복지몰에 입점을 하고 직원을 대상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대표적인 B2B 방식을 취한다고 볼 수 있다.

 

2010~2015년 엑스피디아가 업계 1위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B2C 방식의 거래 업체이다. 기업과 소비간의 거래인데 일반적으로 여행사가 고객에게 직접 여행상품을 판매한느 방식이다. 

 

2016~2019년 북킹 홀딩스가 1위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비즈니스모델은 C2B로 변화하게 되었다. C2B는 소비자가 주체된 거래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공동구매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현재 개인적으로 행하는 공동구매, 스마트스토어, 해외구매대행 등의 개인 사업자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소비자간의 거래 모델이 부상할지 몰랐지만 현재는 소비자들이 당근마켓이나 번개장터 등 중고거래 플랫폼을 통해서 활발하게 거래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00년대에 IT혁신, 버블붐이 등장하였고 OTA가 2007년 전후로 국내 시장에 상륙하였음. 

[국내 시장의 변화는?]

여행 콘텐츠, 커뮤니티, 관심사 수집을 통해서 동행자 빌딩 서비스가 새로 부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가 여행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로컬 도시재생, 건축엔지니어링, 시설기반 여행 서비스 등도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국내여행은 어떻게 변화할지, 무엇을 중심으로 변화할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민감하고 신속하게 변화하는 시장의 변화 트렌드에 대해 시스템, 커머스 용어를 이해할 때 보고서와 통계자료를 볼 때 빠른 파악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