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커리어 컨텐츠 에디터]
대학생분들이 하기 좋은 부업 중의 하나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링커리어라는 사이트에서 모집을 하는 콘텐츠 에디터입니다. 지원 링크는 아래에 첨부토록 하겠습니다.
https://linkareer.com/activity/214262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21기 모집 | 공모전 대외활동-링커리어
중소기업 대외활동인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21기 모집입니다. 혜택으로는 활동비, 인턴쉽 기회 등이 있습니다.
linkareer.com
콘텐츠 에디터 같은 경우에는 말 그대로 취업준비생, 대학생분들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만드는 활동을 합니다.
아래 관련 내용을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모집대상 : 졸업생은 불가합니다. 국내외 대학 재학생이나 휴학생, 졸업유예생 누구나 지원가능합니다.
- 모집인원 : 25명
- 모집일정 : 12월 20일까지입니다.
-
- 지원자격: 네이버 블로그 및 인스타그램 계정 보유자 (둘 다 보유 필수입니다.)
- 활동내용 : 링커리어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온라인 브랜딩 및 홍보, 기타 링커리어 홍보 활동, 카드콘텐츠 기획 및 제작
- 활동혜택 : 매월 활동비 지급, 우수 활동자 시상, 수료증 발급, 링커리어 마케팅팀 인턴 채용 시 서류 가점 부여
지원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uxlkl4yqmsg.typeform.com/to/FjTCtyyV
링커리어 콘텐츠에디터 21기 지원서
Turn data collection into an experience with Typeform. Create beautiful online forms, surveys, quizzes, and so much more. Try it for FREE.
uxlkl4yqmsg.typeform.com
[링커리어 컨텐츠 어떤 것을 만드나요?]
1. 카드뉴스
카드뉴스 같은 것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어떠한 카드뉴스가 있을까요?
- 채용공고와 관련된 일정
- 취업준비생들이 취업하기 전에 취득해야 하는 자격증
- 인턴을 하면서 필요한 자격증이나 실무과정
- 인턴을 수행했던 사람들의 취업 인터뷰
- 채용과 관련된 소식, 바뀌는 제도 등
취업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면 사실 어떠한 것들도 컨텐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링커리어 컨텐츠 에디터를 활동하신 분들이라면 사실 컨텐츠의 다양성을 존중해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 블로그 컨텐츠
저는 과거의 링커리어 컨텐츠 에디터로 활동을 했을 당시에 관련 컨텐츠를 블로그에도 업로드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3. 취업인터뷰
저는 과거의 한국토지주택공사 인턴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데 링커리어 에디터로부터 연락이 와서 인터뷰를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처럼 본인이 어떠한 기업에서 인턴 활동을 수행했으면 이러한 인터뷰 컨텐츠를 만들어서 홍보할 수도 있습니다.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후기]
저는 과거의 링커리어 컨텐츠 에디터를 3~4번 정도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 떄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에디터 활동이 있는지 모르다 보니까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덜했던 거 같습니다. 제가 수행했던 경험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블로그 컨텐츠 위주로 했던 기억이 있음.
그 때는 많은 사람들이 몰랐으니 블로그 컨텐츠 위주로 활동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물론 카드뉴스 컨텐츠도 만들기도 했습니다.
2. 매월 활동비 96,000원 정도 수령함
매월 활동을 해서 실수령액 96,000원 정도를 수령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활동비를 어떻게 제공해 주는지 잘 모르겠지만 대학생들이 하기에 깔끔하고 재미있는 부업의 일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가성비 좋은 대외활동이라고 생각했습니다.
3. 한 번 해보면 좋은 활동 같다.
마케팅에 관심이 있거나 관련 직종으로 취업을 생각하고 계신 분이라면 링커리어 컨텐츠 에디터가 좋은 자기소개서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에 링커리어와 인연이 깊으시다면 나중에 링커리어 마케팅팀에 지원을 하시면 가점이 반영되니까 말이죠.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컨텐츠 '전란' 시청 후기 (2) | 2024.12.17 |
---|---|
지역공사 서포터즈 수료 후기 feat 부업 (1) | 2024.12.16 |
매체별 특징 (1) | 2024.12.14 |
원격교육이론 구성주의 (0) | 2024.12.13 |
청년들의 퇴사, 직장생활의 괴리감 (1) | 2024.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