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지역공사 서포터즈 수료 후기 feat 부업

by 극승 2024. 12. 16.
반응형

 

[지역공사 서포터즈]

저는 수원도시공사에서 진행하는 서포터즈를 참여하게 되었고 수료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서포터즈 경험을 부업적 관점에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업으로서 가치]

1. 월마다 원고료 제공

개인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오래 거주하고 다양한 문화시설, 여가시설을 인지하신 분들이 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월마다 50,000원의 금액을 제공해주셨는데 월마다 해당 공사에서 운영하는 기관에 방문해서 해당 기관에서 진행하는 사업이나 정책을 확인하고 이러한 관련 원고를 제출하면 되는 활동입니다.

Q. 원고 작성 기준이 높나요? 반려를 자주 당하나요?

A. 개인적으로는 원고 작성 기준이 높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반려를 당하지도 않았습니다. 다만 어느 정도의 글자수를 작성해줘야 되는데 제가 기억하기로는 1500~2000자 정도와 사진 2~3장 정도가 포함된 원고를 회신드리면 되는 것이지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블로그 체험단이나 광고단을 진행했을 때 보다는 더 높은 금액을 제공받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Q. 원고는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건가요?

A. 원고 같은 경우에는 한글 프로그램이나 워드 프로그램을 통해서 작성하신 다음에 담당자에게 제출을 하면 되는 형식이었습니다. 작성을 다 완료를 하면 오탈자나 맞춤법의 이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제출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담당자님의 추가적인 요청이 없으면 그 원고를 그대로 활용을 하셔서 해당 공사 측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나 SNS에 업로드가 되는 것이지요.

Q.어떻게 작성하셨나요?

저는 한 번에 작성하려고 노력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수원이라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고 하면 하루에 시간을 내서 동시에 4~5곳을 방문해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렇게 정리된 내용을 한 번에 작성하려고 노력을 했습니다. 

 

향후의 원고작성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사진도 많이 찍어 두었고 인터뷰를 할 때 메모를 하거나 녹음을 하면서 듣기도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인터뷰 내용이 많아질수록 인터뷰의 내용이 섞일 수도 있고 인터뷰 내용이 많다 보니 기억이 안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한 번에 해당 장소들을 하루에 방문을 해서 이후에는 한 번의 작성을 시도하였습니다.

 

원래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하다 보니 원고를 작성하는 데 크게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4~5개 정도 되는 원고들을 담당자님 허가 하에 일시에 회신을 드렸고 월마다 5만원씩 입금되는 형태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보는 여러분들도 만약에 부업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장소에 시간을 쪼개서 방문하는 것 보다는 한 번에 방문 경로와 시간을 고려해서 일정을 관리해서 하루에 방문을 해서 인터뷰와 취재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을까 저는 생각합니다. 

 

이렇게 해서 작성된 원고들을 일시에 회신드려서 공사 서포터즈에 할애하는 시간은 많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반응형

[추가적으로 공공기관 부업에 대해서 말씀드리는 점]

1. 보수는 확실히 제공해준다.

공공기관은 정산이 확실하기 때문에 돈을 떼어먹는다거나 하는 걱정이 없으셔도 됩니다. 보장된 기관에서 활동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해진 날짜에 활동비가 확실히 입금이 되니까 직장인들 같은 경우에는 소소하게 용돈벌이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직장인임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잘 활용하고 일정을 관리해서 4개 이상의 대외활동을 수행하고 여기서 우수활동자나 각종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면 용돈 이상으로도 벌어가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해당 지역에서 모집하는 지자체 사이트를 잘 확인해보자.

해당 지자체 사이트에 서포터즈를 모집하는 시즌이 있으니 잘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고 나는 어느 떄인지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마케팅이나 홍보 부서와 관련된 담당자에게 전화하여 한 번 모집일정을 물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느 때에 모집공고가 나올지 미리 알아두는 것만으로도 향후의 지원을 할 때 까먹지 않고 지원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서포터즈 활동도 경력직을 선호합니다.

다소 슬픈 이야기일 수 있지만 서포터즈 활동도 기관에서는 많이 경험을 해 본 사람들을 선호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서포터즈 활동 증빙 경험 기록을  활동증명서나 수료증, 참가확인서 등으로 증빙할 수 있도록 이러한 자료를 출력을 해 놓으셔서 잘 모아두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귀찮다고 한다면 개인적으로 SNS 매체에 후기나 글 같은 것도 남겨두면 향후의 증빙을 하고 기억을 상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