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원격교육이론 구성주의

by 극승 2024. 12. 13.
반응형

 

[구성주의]

- 학습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라는 입장이다.

- 학습자들의 경험 의미화를 어떻게 하는가에 관심을 둔다. 

- 개인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한다는 관점을 취하며 학습자가 제공된 정보나 자료를 토대로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강조

 

가. 개인적 구성주의

- 교수자가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는 경험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경험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스키마를 개발하도록 함.

- 집단토의에서 제시된 실용적 활동은 교육학적 연습의 핵심을 형성함. 

 

나. 사회적 구성주의

- 지식은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문제나 과제에 관련될 때 형성한다.

- 학습은 문화적으로 공유된 방식으로 세계와 현실에 대해 이해하고 말하는 것을 의미함. 

- 학습자들이 사회적 맥락 내에서 먼저 지식을 구성하고, 이후에 개인이 그 지식을 자기 것으로 내면화한다고 주장함

 

다. 인지적 구성주의 VS 사회적 구성주의

- 인지적 구성주의 : 개인의 인지적 구조 변화에 관심을 둔 구성주의 관점이다.

- 사회적 구성주의 : 지식 구성의 사회문화적 요인, 언어, 타인의 역할에 관심을 둔 구성주의 관점

 

라. 구성주의 시사점

- 학습자가 경험에서 지식을 구성하며 관점을 재조정하는 것을 강조한다.

- 자기주도성의 개념과 조화 : 활동적 탐구, 독립성, 학습과제에서의 개인성의 조합된 특징을 강조한다. 

반응형

[원격교육이론]

- 원격교육의 고유 이론 정립을 위한 노력은 비교적 최근인 1970년대 이후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음.

- 원격교육에서 이론이 필요한 이유는 다른 교육 영역과 방법과 비교해 볼 때 원격교육이 구별되는 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임

-  원격교육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이론이 문제 해결 과정의 프레임웍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음. 

1. 매체관련 이론

- 1920년대에 강조된 접근방법으로 학습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학습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음.

- 구체적 매체일수록 더 정확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고 추상성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낮아진다고 설명하였음. 

- 추사성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낮아진다고 설명하였음. 

2. 시청각교육

- 1930~40년대 라디오, 녹음기, 영사기 등과 같이 시청각 장비가 개발되면서 주목받음.

- 기존의 시각교육에 청각적인 요소가 동시에 고려되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