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큰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제주공항의 7c2216편 여객기가 착륙 중 추락하면서 큰 화재가 발생했는데 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조류 충돌"과 "랜딩기어 불발"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조류충돌과 랜딩기어 불발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요?
1. 조류충돌
"조류 충돌" 은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새와 부딪히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항공용어로는 버스트 스트라이크라고도 불립니다. 새가 비행기의 엔진이나 날개, 혹은 랜딩기어와 충돌할 경우 비행기의 중요한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는 제대로 조종되지 않거나 비상착륙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조류 충돌이 발생하면 새가 엔진 내부로 들어가 엔진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고 또는 비행기의 구조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조류 충돌이 원인으로 비행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랜딩기어
랜딩기어는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지면과 접촉하는 부품으로 주로 바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랜딩기어는 비행기가 지면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륙할 때는 비행기를 지면에서 들어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랜딩기어가 '펼쳐져야 한다.' 는 것입니다. 비행기가 착륙하기 전에 랜딩기어가 제대로 펼쳐져 있지 않으면, 비행기는 착륙할 수 없고, 추락할 위험이 큽니다. 이번 사고에서 언급된 랜딩기어 불발은 랜딩기어가 제대로 펼쳐지지 않아 착륙할 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랜딩기어 불발의 원인 : 조류 충돌
이번 사고에서는 비행기가 착륙을 시도하는 도중에 "랜딩기어 불발"이 발생했는데, 그 원인으로 조류 충돌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려 연결됩니다.
가. 비행기가 착륙하려 할 때, 새가 비행기와 충돌하면서 랜딩기어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가 랜딩기어를 작동시키는 기계나 센서를 방해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나. 혹은 조류 충돌로 인해서 기계가 비정상적으로 흔들리거나 방향을 잃으면서 랜딩기어가 제대로 펼쳐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사고의 전개 : 착륙 시도 후 추락
사고 당시 비행기는 착륙을 시도했으 나 랜딩기어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하게 되었습니다. "동체 착륙" 이란 비행기의 바닥 부분이 직접 지면에 닿는 착륙 방식으로 일반적인 착륙 방법은 아닙니다. 동체 착륙을 시도했지만, 속도를 충분히 줄이지 못한 비행기는 결국 활주로를 벗어나 외벽에 충돌하며 추락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5. 왜 조류 충돌이 위험한가?
조류 충돌은 종종 예기지 못한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비행기는 고속으로 날아가고 있기 때문에, 새와의 충돌이 발생하면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착륙이나 이륙 중에는 비행기가 저고도에 있기 때문에 조류와의 충돌 확률이 높고 그로 인한 피해가 커질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올 해 가장 많이 들은 말은? (3) | 2025.01.01 |
---|---|
경영학과 학생들이 알아두면 좋은 내용 (1) | 2024.12.31 |
네트워크, 파트너십의 개념과 유형 (3) | 2024.12.29 |
면접 잘 보는 방법 (4) | 2024.12.28 |
청소년 기관, 청소년 시설 취업에 필요한 것 (2) | 2024.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