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음식]
1. 사찰음식이란 무엇일까요?
- 오랜 세월을 거치며 불교의 가치와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되어 온 음식입니다.
2. 사찰음식에는 다양한 뜻이 있다?
- 사찰에서 일상적으러 먹는 음식 외에도 사찰음식은 선식으로 수행음식이라고 합니다. 재료를 직접 재배하고 다듬고 요리하고 식사예법에 이르기까지 모두 수행의 중요한 과정이라고 합니다.
- 지혜를 얻기 위해 준비하고 먹는 음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생명존중을 기본으로 자비사상이 깃든 음식이다.
- 건강식 채식위주입니다. 전통식이자 자연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불교의 자비근본 취지에 따라서 육식이 금지되었다.
3. 사찰음식의 특징
- 육식 금지
- 오신채 사용하지 않는다.(마늘, 부추, 파, 달래, 흥거) 오신채 섭취 시 음란하고 성내는 마음이 생긴다고 생각하였다.
- 다양한 약리작용
- 향토음식 발달
- 천연조미료 활용
- 저장음식 및 발효음식 발달
- 친환경 자연음식
[발우공양이란?]
발우공양이란 스님들이 평소 식사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라고 합니다. 공양은 바치고 주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밥 먹는 것 또한 몸에 생명력을 주는 것이므로 공양이라고 합니다.
발우공양은 단순히 밥을 먹는 행위가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기고 보살로서 살겠다는 의지와 서원을 다짐하는 거룩한 의식이다.일종의 수련이고 겸허하고 고요하게 진행됩니다.
1. 발우는 무슨 뜻인가요?
- 스님들이 공양할 때 사용하는 식기입니다.
- 어시발우(밥) 국발우, 청수발우, 찬발우, 시식발우
2. 공양
- 보살의 은혜, 자연의 은혜, 사람의 은혜, 시주의 은혜 등 공양에는 감사할 일이 너무 많다.
3. 발우공양의 대표적인 정신은?
- 평등 : 모든 대중이 똑같은 밥과 반찬을 똑같이 나누어 먹는다는 만인 평등의식
- 청결 : 개인 발우, 덜어먹기 등 식사예절이 깨끗한 발우공양의 모습
- 절약 : 먹을 만큼만 덜기 때문에 낭비가 없다. 생태주의 사상이 있다.
- 공동체 : 절의 크고 작은 일을 논의 및 결정한다. 민주주의 정신을 담고 있다.
- 복덕 : 한량없는 공덕을 성취하자는 복덕의 의미가 깃들어 있다.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실패, 내가 겪었던 감정 (0) | 2024.04.19 |
---|---|
겨드랑이 피지낭종 제거 후기 (0) | 2024.04.18 |
지인의 사랑 이야기 (1) | 2024.04.16 |
지적인 대화를 넓고 얕은 경영학 지식 (0) | 2024.04.15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체험형인턴 후기 (0) | 2024.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