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적인 고찰

수렵면허 1종 취득 후기

by 극승 2024. 11. 24.
반응형

 

[수렵면허]

유해야생동물, 유해조수 등을 사냥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자격면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수렵면허는 5년에 한 번 갱신을 해야 됩니다. 5년이라는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 3개월전부터 갱신이 가능합니다. 

 

수렵면허 1종과 마찬가지로 수렵면허 2종이 있습니다.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렵면허 1종 : 엽총, 공기총 사용 가능
  • 수렵면허 2종 : 활, 그물 사용 가능

수렵면허 1종을 취득하신 분들은 활과 그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렵면허 2종을 취득해야 합니다.

 

보통은 사냥을 하시려는 분들은 수렵면허 1종을 취득하셔서 총포를 구매하십니다. 총포를 구매하시고 이후의 유해야생동물을 사냥하십니다. 

만약에 나는 활과 그물을 추가적으로 활용하고 싶다하시면 수렵면허 2종을 취득하셔야 합니다. 

 

현재 저는 수렵면허 1종을 취득해 둔 상태이고 추가적으로 수렵면허 2종을 취득하려고 공부를 해 볼 생각입니다. 

[수렵면허 난이도]

국가공인 시험이긴 한데 사실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 않은 면허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는 수렵면허 필기 시험과 관련된 내용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1. 공부해야 할 분량은 많다.

문제은행식으로 출제가 됩니다. 문제은행식으로 출제가 되는 데 그 문제의 양이 1000문제 정도 됩니다. 그래서 최소 1회독, 많으면 2~3회독 하시고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공부를 하지 않으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수렵면허를 운전면허증에 비유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사실 제가 개인적으로 느꼈을 때는 비전공자나 사냥, 수렵 엽총을 다뤄보시지 않는 배경지식이 없으신 분들이 공부를 하지 않고 붙을 수 있는 수준의 자격증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멸종위기동물에 대한 구분과 응급처치, 각종 법령과 협약에 관한 내용도 있다 보니 이러한 내용들을 인지하지 못하면 당연히 떨어질 확률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시험입니다.

 

그래서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꼭 문제를 한 번은 1회독 하시고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근데 제가 최근에 본 내용으로는 2021년도 부터인가? 어려워졌다고 들어서 필기 합격률이 20%라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이게 정확한 내용은 한 번 찾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3, 필기 합격 이후에 실기 강습 진행함. 

필기 합격 이후에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가서 4시간 강습을 진행한다.

 

보통은 이론적인 부분과 실기강습을 이수하는데 20여발의 탄을 엽총을 통해 발사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건 나름 기억에 남고 재밌다. 

 

남성분들은 기존의 군대에 갔다 와서 가늠쇠와 가늠자를 통해 목표물을 일치키셔 놓고 발사하는 습관 때문에 오히려 엽총 강습이 있을 때 여성분들보다 못 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한다. (그게 나다)

 

하여간 실기 강습은 못해도 잘만 참여하면 이수증을 발급해준다. 이수증을 발급받으면 이후에는 수렵면허 발급에 필요한 각종 서류를 발급받아서 본인이 거주하는 시군구청에 방문해서 발급을 받으면 된다.

 

발급 같은 경우에는 보통 4~5일 정도 소요되는 것 같다. 

 

 

반응형

'개인적인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입 팀장의 회사 인정 비법  (0) 2024.11.26
원격교육의 발달  (0) 2024.11.25
지식기반사회 특징  (2) 2024.11.23
성인교육 및 상담  (2) 2024.11.23
항공기 기내의 서비스 컴플레인과 조취 방법  (0) 2024.11.23

댓글